제1장┃연구 대상과 자료, 그리고 연구사
1. 연구 대상과 문제의식
2. 불교여성이란
3. 자료의 문제
4. 서구의 불교여성 연구사
5. 한국의 불교여성 연구사
6. 근대성의 정의와 방법론적 반성
제2장┃불교 여성학과 불교 여성주의
1. 불교 여성주의란
2. 붓다의 여성관과 초기 불교의 여성 승단 성립
3. 율장과 팔경계
4. 경전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교리와 입장
5. 비구니 교단의 소멸과 현대의 비구니 승단 복구 노력
6. 남성 중심주의와 남성적 문화
7. ‘치마불교’ 논란 - 여성 수행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 필요
8. 여성하심의 심리적 기제 - 종교적 수행인가, 내면화된 억압의 표현인가?
제3장┃한국 불교사 속의 여성―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 말까지
1.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기록 속에 나타나는 여성 신행
5. 왕실과 불교
6. 원찰과 원당
7. 사지에 보이는 여성 시주자
8. 조선말기
제4장┃근대 개항기
1. 도성 출입 금지의 해제
2. 1800년대 말 비구니 중심지
제5장┃식민지 시기 한국 불교와 여성
1. 사찰의 모습과 경제적 기초
2. 비구니 선사의 등장 - 법희·만성·선경·본공
3. 불교 신여성의 등장과 근대의식
4. 불교 여성 단체의 형성과 근대성의 지향
제6장┃해방 이후 불교계의 재구성과 여성의 조직화
1. 한국 동란 이후 비구니 사찰 복구 운동
2. 비구니 선원과 강원의 설립
3. 불교계의 정화운동
4. 염원과 배신,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 확립
제7장┃1970년 이후―미래를 위한 약진
1. 비구니의 약진과 정치적 투쟁
2. 비구니 리더십
3. 비구니의 조직화 - 우담바라회, 정혜도량, 전국비구니회
제8장┃맺는말
주석/ 참고문헌/ 출전/ 찾아보기
근대 이후 불교여성은 어떻게 살아왔나
불교여성, 스스로를 살리고 불교를 살리다
1. 내일의 불교, 불교여성을 위하여 어제를 돌아보다
한국 비구니 전통의 역사는 1700년에 이르고, 이것은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유구하고 여법한 비구니 교단의 전통이다. 비구니들은 똑같은 수행자들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불교사에서 오랫동안 하위 범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 결과 전통불교의 보수성은 아직도 21세기 한국 불교계를 지배하고 있다.
오늘날 불교계 교단에서 제도적으로 극복해야 할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성적 불평등의 문제, 특히 여성을 낮추어보고 여성의 종교적 가능성을 폄하하는 것이다. 종정을 위시하여, 총무원장 이하 모든 상위 보직자의 선출 자격을 비구만으로 한정하는 현재의 종헌종법의 법제는 반드시 타파되어야 할 시대적 화두이기도 하다. 특히 근대 시기에 불교여성들이 불교 교단의 자리매김을 위하여 기여한 바를 고찰하면 이 점은 더욱 뚜렷한 과제로 부각된다.
근대에 들어 세계적 규모의 사회적 격동이 일어나는 현상에 즈음하여, 불교계의 비구니들은 우선 오랫동안 잊힌 자신의 정체성과 자아를 회복하고 구도자로서의 제자리를 확보하는 데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 결과로 자신의 여성됨의 의미와 사명 등을 자각하고, 스스로의 수행 공간(도량을 일구는 경험 그리고 자신의 계보와 역사를 반추하고 자신이 서 있는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재인식하게 되었다. 이들의 노력은 한국 불교 교단에서의 비구니 승단의 존재감을 강화하는 한편, 조선시대 내내 피폐된 불교교단 자체에 활력을 불어넣는 마중물 역할을 하였다.
2. 희소한 자료를 헤집어 시대별 불교여성 활동을 조명하다
이러한 비구니들의 활동은 개항기, 일제강점기, 해방과 한국동란 시기에 걸쳐 각각 시대적 특징과 발전 양상을 보이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근대 시기 비구니 활동의 의미는 그에 앞선 시기, 즉 근대 이전 시기 한국불교 전통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더욱 도드라지고, 또한 1970년대 이후 비구니 승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