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부_조선 후기의 실학사상
1장 실학사상의 배경
새로운 사회를 꿈꾼 사람들
실학사상의 내용
2장 사회 개혁을 주장한 실학자들의 삶과 사상
실학의 첫걸음을 내딛는 유형원
놀고 먹는 양반을 비판한 이익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정약용
조선의 코르페니쿠스 홍대용
이용후생론을 펼친 박지원
북벌론 속에서 북학론을 체계화한 박제가
실사구시를 실천한 김정희
경험과 검증을 강조한 최한기
3장 실학의 사상사적 의의
실학은 왜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사상인가
성리학과 실학은 어떻게 다른가
7부_문명과 야만의 두 얼굴에 맞선 한국 근대사상
1장 군함을 앞세운 서양제국 - 식민지 개척에 발 벗고 나서다
2장 열강의 소용돌이 속에서 살아남기
3장 근대를 이끌어 간 세 갈래 길
8부_문화민족의 자긍심을 지킨 위정척사
1장 척사로 드러난 문화민족의 자긍심
기술보다도 문화로 자긍심을 갖다
정의의 이름으로 저항하다
2장 위정척사파 지식인들의 삶과 철학
리의 실현을 꿈꾸며 의병 활동을 전개한 화서학파와 노사학파
애국계몽 운동으로 나아간 한주 학파
도도히 도를 지킨 간재학파
3장 위정척사사상의 역사적 의의
재야의 선비들
성리학의 이상을 지키는 것만이 옳은가
나아감과 물러섬
9부_평등 세상을 꿈꾼 민중 운동의 사상
1장 민중 운동이 일어나다
가난하고 서러운 민중의 삶
민중 운동의 전개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2장 동학 운동과 그 사상
최제우, 하늘님을 만나다
최시형, 동학을 계승하다
동학의 하늘님 사상
동학의 평등사상
동학의 현세 중심사상
3장 갑오농민군이 문제 해결에 앞장서다
갑오농민군의 사회 비판 정신
갑오농민군의 외세 침략 반대사상
4장 활빈당의 왕도 정치 사상
10부_개화사상과 애국계몽사상
1장 개화사상이란 무엇인가
어떤 집안 이야기
개화란 무엇인가
개화가 싹트는 박규수네 사랑방
2장 개화의 주역들
개화는 빠를수록 좋다
김옥균과 그의 동지들
갑신정변의 실패
3장 갑오개혁과 그것이 남긴 교훈
출판사 서평
■ 오늘의 우리를 만든 한국 철학
“저 보리수나무에서 열매 하나를 따와 보아라.” “여기 따왔습니다.”
“그것을 쪼개라.” “예, 쪼겠습니다.”
“그 안에 무엇이 보이느냐?” “씨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를 쪼개 보아라.” “쪼겠습니다.”
“그 안에 무엇이 보이느냐?”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총명한 아들아, 네가 볼 수 없는 이 미세한 것, 그 미세함으로 이루어진 이 큰 나무가 서 있는 것을 보아라.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그것이 있음을 믿어라.”
한국 철학이란 무엇이며, 지금 우리에게 한국 철학은 어...
■ 오늘의 우리를 만든 한국 철학
“저 보리수나무에서 열매 하나를 따와 보아라.” “여기 따왔습니다.”
“그것을 쪼개라.” “예, 쪼겠습니다.”
“그 안에 무엇이 보이느냐?” “씨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를 쪼개 보아라.” “쪼겠습니다.”
“그 안에 무엇이 보이느냐?”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
“총명한 아들아, 네가 볼 수 없는 이 미세한 것, 그 미세함으로 이루어진 이 큰 나무가 서 있는 것을 보아라.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그것이 있음을 믿어라.”
한국 철학이란 무엇이며, 지금 우리에게 한국 철학은 어떤 의미인가? 고대 인도 철학서 우파니샤드에서 진리를 찾는 아들과 그 아들에게 보리수나무의 씨앗으로 진리를 설명하려는 아버지의 대화는 이에 대한 대답을 대신한다. 지금의 우리가 한국 철학을 배우는 것이란 이렇게 유구한 역사를 거슬러 보이지 않는 생명의 정수를 찾는 일과 다름없다. 왜 그럴까?
한국 철학은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 속에서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온 자연 조건과 사회 상황에서의 경험들을 추상화하고 체계화해 낸 것이다. 우리 선조들은 오랜 기간 동안 자신들이 살고 있는 삶과 세계에 대한 문제들을 고민하면서 해답을 찾으려 노력했고,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사유 체계를 만들거나 외래 사상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사상으로 다듬어 갔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국 민족이 만들어 낸 보편적 사유 체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