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말이 지닌 힘
서문 언어로 새 국가를 건설하다
제1부 세력 형성기 (1917-1936 : 대중의 뜻에 부합하는 언어
1 싸우는 즐거움 ∥ 2 나랏일을 꾸짖다 ∥ 3 총대, 붓대 ∥ 4 지부를 중대에 건설하다
5 적이 물러나면 우린 추격한다 ∥ 6 3대 기율과 8가지 주의사항 ∥ 7 땅에 때려눕히고 다시 한 발로 밟다
8 고깔모자 ∥ 9 작은 불씨가 들판을 태우다 ∥ 10 장정
제2부 목표 확립기 (1936-1949 : 확고한 비전 제시
11 남이 나를 건드리면 ∥ 12 간고한 분투 ∥ 13 오로지 남만 이롭게 하다 ∥ 14 당팔고
15 낡은 것을 깨야 새것을 세운다 ∥ 16 반란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 ∥ 17 정치 좀도둑
18 실사구시 ∥ 19 정풍 ∥ 20 병을 고쳐 사람을 구하다 ∥ 21 비평과 자아비평
22 바지 벗기, 꼬리 자르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 23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
24 인민을 위해 복무하다 ∥ 25 소똥 ∥ 26 근무원 ∥ 27 노동대학 ∥ 28 종이호랑이
29 어려움을 극복하고 승리를 쟁취한다 ∥ 30 우공, 산을 옮기다 ∥ 31 반장
32 피아노를 연주하다 ∥ 33 고추 ∥ 34 투쟁철학 ∥ 35 당의포탄 ∥ 36 양모
37 물고기와 물의 관계 ∥ 38 열심히 공부하면 나날이 향상된다
제3부 권위 강화기(1949-1966 : 민심의 이탈을 막는 언어
39 백화제방 ∥ 40 호랑이를 때려잡다 ∥ 41 꼬리를 내리고 사람이 되다 ∥ 42 지구적
43 교만하면 낙후한다 ∥ 44 큰 소리로 외치다 ∥ 45 건전한 사상과 우수한 기술
46 사과 ∥ 47 동풍, 서풍 ∥ 48 고귀한 자가 가장 우둔하다 ∥ 49 대자보 ∥ 50 참새
51 황제를 말에서 끌어내리다 ∥ 52 큰 인물, 작은 인물 ∥ 53 화강암 대가리 ∥
어떤 ‘언격’을 지닌 정치가가 대중의 신뢰와 지지를 얻는가?
_ 정치가가 갖춰야 할 ‘말의 격’
정치가에게 ‘말’이라는 단어가 주는 절대성과 중요성은 상당히 크고 강하다. 정치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요인 중 가장 큰 부분이 바로 ‘말’이기 때문이다. 대중과의 소통이 정치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이래 정치가의 ‘말의 격’은 때로는 가장 쉽게 공격 가능한 약점으로, 때론 대중의 무한 신뢰를 이끌어내는 두꺼운 갑옷으로 기능했다. 그렇다면 어떤 ‘언격(言格’을 가진 정치가가 대중의 신뢰를 얻는가? 정치가의 언격이란 과연 무엇인가...
어떤 ‘언격’을 지닌 정치가가 대중의 신뢰와 지지를 얻는가?
_ 정치가가 갖춰야 할 ‘말의 격’
정치가에게 ‘말’이라는 단어가 주는 절대성과 중요성은 상당히 크고 강하다. 정치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요인 중 가장 큰 부분이 바로 ‘말’이기 때문이다. 대중과의 소통이 정치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이래 정치가의 ‘말의 격’은 때로는 가장 쉽게 공격 가능한 약점으로, 때론 대중의 무한 신뢰를 이끌어내는 두꺼운 갑옷으로 기능했다. 그렇다면 어떤 ‘언격(言格’을 가진 정치가가 대중의 신뢰를 얻는가? 정치가의 언격이란 과연 무엇인가?
대한민국 헌정 역사상 처음으로 탄핵이 가결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재임 내내 일명 ‘유체이탈 화법’을 구사한다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준비된 글을 ‘읽을 때’를 제외하고, 그의 언사에서는 도무지 ‘조리(條理’를 찾을 수 없었다. 그가 탄핵을 당한 주 원인은 비선실세의 국정 농단이라는 사상 초유의 부조리에 있었지만, 이를 해명하기 위해 마련했던 세 번의 대국민 담화는 안 하느니보다 못할 정도로 어설펐다. 담화 이후 ‘거짓말 퍼레이드’ ‘무늬만 사과’라는 혹평 속에 지지자들조차 돌아서게 됐다. 왜 그랬을까? 국민의 분노를 제대로 읽지 못한 채 변명으로 일관하고, 국가 안보와 경제 위기를 들먹이며 자리를 지키는 데 급급한 태도를 여실히 드러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담화에서 특검을 비롯한 모든 수사에 적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