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한국어판을 내며
한국어판을 내며
제1장 호색한과 여성 혐오
여성 혐오란 무엇인가 | 요시유키 준노스케와 나가이 가후 | 여성으로부터 도주하는 남성
제2장 호모소셜, 호모포비아, 여성 혐오
남자의 가치는 무엇으로 정해지는가 | 남성 연대의 성립 조건 | 남자는 성에 관해 이야기한 적이 있는가
제3장 성의 이중 기준과 여성의 분단 지배─‘성녀’와 ‘창녀’의 타자화
젠더, 인종, 계급 | ‘성녀’와 ‘창녀’의 분단 지배 | 성의 이중 기준이 가진 딜레마
제4장 ‘비인기남’과 여성 혐오
‘성적 약자론’의 덫 | 성의 자유시장 | 아키하바라 무차별 살상 사건과 ‘비인기남’ | 격차혼의 말로 | ‘남성보호법’의 반동성 | 남자가 되기 위한 조건
제5장 아동 성학대자와 여성 혐오
‘욕망 문제’ | 공적 섹스와 사적 섹스 | 아동 성학대자들 | 여성 혐오와 호모포비아
제6장 황실과 여성 혐오
남아 탄생 | 황실은 언제부터 여성 혐오적이 되었는가 | 신화논리학 | 황족과 인권
제7장 춘화와 여성 혐오
폭력·권력·재력 | 쾌락에 의한 지배 | 남근 중심주의 | 춘화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 | 남근 페티시즘 | 남자가 필요 없는 쾌락?
제8장 근대와 여성 혐오
‘어머니’라는 문화적 이상 | ‘한심스러운 아들’과 ‘신경질적인 딸’ | ‘자책하는 딸’의 등장 | 근대가 낳은 여성의 여성 혐오 | 자기혐오로서의 여성 혐오
제9장 어머니와 딸의 여성 혐오
반면교사 어머니 | 어머니가 치르는 대가 | 어머니는 딸의 행복을 기뻐하는가 | 어머니의 질투 | 모녀의 화해
제10장 ‘아버지의 딸’과 여성 혐오
가부장제 대리인으로서의 어머니 | ‘아버지의 딸’ | ‘유혹하는 이’로서의 딸 | 일본의 ‘아버지의 딸’ | 아버지에 대한 복수 | ‘아버지의 딸’도 ‘어머니의 딸’도 아닌
제11장 여학교 문화와 여성 혐오
남성 사각지대 | 여학교 가치의 재발견 | 여학교 문화의 이중 기준 | ‘노파의 가죽’ 생존 전략
‘여성’이란 ‘남성이 아닌 자’에게 찍힌 낙인이다
-성차별의 본질, ‘여성 혐오’에 대한 총체적 고찰
저자는 ‘여성 혐오’를 ‘여성에게는 자기 혐오, 남성에게는 여성 멸시’라고 간결하게 정의한다. 여성 혐오가 존재하는 사회에서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보편적인 편견이 존재하는데, 남성은 이성적이고 주체적이고 사회를 이끌어나가는 주체이며, ‘남성이 아닌’ 여성은 이성적이기보다 감성적인, 주체적이기보다 수동적인 객체라는 낙인과 같은 것이다. 이처럼 여성 혐오 사회에서는 남성을 우월하고 지배적인 존재로 규정하며 여성에 대한 성차별이 정당화된다. 여성 혐오는 여성은 스스로를 인정하거나 사랑하기 어렵게 만들고, 남성은 여성을 멸시하며 동등한 주체로 여기지 않게 만든다.
이러한 여성 혐오는 사회 곳곳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어 사회 구성원들이 쉽게 눈치채기 어렵다. 특히 여성에게 애정과 관심을 가지는 것과 여성 혐오는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바람둥이 남성은 여성을 사랑하기 때문에 성적 대상으로밖에 보지 않고, 여성을 보호의 대상으로 보는 남성은 다정한 보호자를 자처하며 여성을 수동적인 존재로 타자화한다. 모성과 어머니에 대한 찬양은 아이를 낳아 기르는 여성을 ‘어머니됨’에 가두는 여성 혐오이자 ‘맘충’과 동전의 양면을 이루며, 딸의 사회적 성공을 응원하면서도 결혼하라는 잔소리를 멈추지 못하는 어머니는 딸에게 전통적인 여성상을 강요하는 것이다. 이처럼 여성 혐오는 사회적·맥락적으로 나타나기에, 저자는 여성 혐오 사회의 구조를 차근차근 해체해나가며 여성 혐오의 실체를 총체적으로 드러낸다.
여성 혐오는 남성 연대로 구축되고 완성된다
-여성에 대한 비하와 타자화를 공유하는 남성들
여성 혐오는 본래 여성을 멸시하고 타자화하는 남성의 것이며, 남성 연대(호모소셜로 만들어지고 완성된다. 저자는 사회학자 사토 유이가 내린 ‘차별’의 정의를 빌려 ‘성차별’을 “여성을 타자화함으로써 그것을 공유하는 남성과 동일화하는 행위”로 규정하는데, 이는 남성 연대가 여성 혐오를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