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국 건축의 정체성
저자 이상헌
출판사 미메시스(열린책들
출판일 2017-11-15
정가 22,000원
ISBN 9791155351161
수량
머리말

1 건축의 개념
아키텍처와 영조의 차이
학문적 지식 대 경험적 지혜
일원론 대 이원론
예술적 오브제 대 생활의 도구(장치
미적 체험의 차이: 시각적 즐거움 대 심미적 인식
건축과 음악
한국의 건축학, 어떻게 할 것인가

2 인식과 경험
형태와 물질
시각과 몸각
빛과 햇빛의 차이
휴먼 스케일
밧줄과 삶의 기하학
땅과 하늘
수평의 집 대 수직의 건축
기둥의 상징성 대 지붕의 상징성
벽의 건축과 바닥의 건축
온돌과 벽난로
주소의 체계
빛과 그늘

3 인간의 위상
경험 주체의 위치
한국 건축의 입면
건축과 그림의 관계
중심적 주체 대 유동적 주체
픽처레스크와 장면의 시퀀스
원경, 중경, 근경
스펙터클과 미로의 건축
한국 건축과 현대 건축의 언캐니
한국 건축에는 인간이 없다

4 공간의 개념
동서양 공간 개념의 차이
우주 공간과 건축 공간
사이트와 터
지도의 공간
포셰와 칸
중심으로서의 마당
보이드 대 여백
유화와 수묵화의 공간

5 안과 밖
안과 밖의 구분
안과 밖의 중첩
도시의 외부 공간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인테리어
마당과 중정의 차이
마당과 마루
문살과 창호지
정자와 셸터
차경과 픽처 프레임
윈도우와 창문

6 경계
경계의 모호성
경계와 영역
경계의 성격: 음양과 게슈탈트의 차이
공간의 상호 관입과 투명성
문지방과 스레숄드
경계 요소와 경계 공간
처마 대 이브
툇마루와 복도의 차이
마루와 거실의 차이
벽과 담의 차이
사찰의 산문

7 개체와 집합
건축 공간의 분화
부분과 전체
알파벳과 한자
룸과 방
룸과 칸의 유사성과 차이
구성과 직조: 한국의 건축에는 구성이 없다
바둑과 체스의 차이
타입 대 프로세스: 타입의 역설
대칭과 비대칭
건축의 정면성: 장변 대 단변
켜 대 깊이
시각의 축과 마음의 축
건축과 도시의 관계

8 건축과 자연
자연 개념의 차이
한국 건축과 자연의 관계
베르사유궁과 창덕궁
유교에서 도의 행위 규범이 예로 나타나듯이, 건축에서도
현대 건축에 유용한 관계의 언어를 예로 규범화할 수 있지 않을까?
예를 학문화하면 예학이듯이 건축의 예를 학문화하면 우리의
건축학을 정립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가 땅을 다루고 집을 앉히는,
구조물을 세우고 공간을 구축하는, 자연이나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재료와 집을 사용하는 예를 정립함으로써 건축의 도에 이를 수 있지 않을까?
도와 예로서의 건축은 개인의 독창성을 표현하는 작품으로
회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로지 관계의 제도화에 의해서 가능하다.
여기서 자의식의 산물로서 건축은 사라진다. 현대 건축 이론에서
말하는 <약한 건축>의 뜻도 여기에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의도적으로
서양 건축의 인식 틀을 벗어나서 건축을 생각하려는 자의식적 노력을 해야 한다.
이미 교육을 통해 우리의 의식이 서양 건축의 지배적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것을 벗어나서 다른 (전통적 방식으로
건축을 생각하려는, <비판적 자의식>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 본문 중에서

한국의 전통 건축, 어떻게 이론화할 것인가
전작 『대한민국에 건축은 없다』를 통해 한국 건축의 현실을 비판하고 전통의 이론화에 대해 화두를 던졌던 건축학자 이상헌. 그가 이번에는 <한국 건축의 정체성>에 대해 작정하고 말문을 열었다. 오래전부터 그는 한국의 현대 건축이 서양에서 발전돼 이식된 것이므로 건축을 제대로 하려면 서양 건축의 실체를 잘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그래서 서양 건축에 대한 이해가 쌓일 때마다 한국 건축과의 차이에 습관적으로 관심을 가졌고, 그에 관한 직관적 단상이 떠오를 때마다 틈틈이 메모를 하곤 했다. 이 책은 그것을 토대로 발전하였다. 언어화되지 않았던 한국 전통 건축의 원리를 현대에 소통 가능한 언어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현대 건축을 지배하는 서양 건축의 언어와 개념을 통해 비교론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저자의 생각은 자연스럽게 한국 건축과 서양 건축의 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