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장 _ 들어가는 말
1. 대승이 수승(殊勝한 까닭
2. 마음활동의 근거와 양상
2장 _ 인식의 토대 아뢰야식: 기억정보
1. 아뢰야식에 대한 논거
1 아뢰야식과 아타나식을 설명한 경론
2 아뢰야식에 상당하는 이름들
2. 아뢰야식에 대한 논리적 근거
1 아뢰야식에 대한 개념 정리
2 청정한 인식과 오염된 인식의 토대
3 종자의 특성과 종자화된다는 것
4 아뢰야식은 선도 악도 아니다
3장 _ 인식의 활동양상
1. 인식현상의 세 가지 모습
1 의타기상?:?인지시스템
2 변계소집상?:?허망분별
3 원성실상?:?집착 없는 앎
2. 알려진 것은 마음이 만든 이미지
1 본다는 것
2 인식된 것은 기억정보를 재구성한 환상
3 인식주체도 실재하지 않음
3. 세 가지 마음현상에 대한 정리
4. 세 가지 마음현상의 같음과 다름(1
5. 세 가지 마음현상의 같음과 다름(2
6. 대승경론을 관통하는 가르침?:?세 가지 마음현상
1 원성실성의 네 가지 특징
2 경론의 이야기
3 깨달음의 근거?:?지성과 불성
4 기억정보에서 의식으로의 전환
5 보살수행자가 성취한 서른두 가지 공덕
4장 _ 인식현상 알아차리기
1. 학습과 마음챙김
2. 깨달음을 이루는 마음상태
3. 연기적 자아를 깨달음
4. 집착 없는 마음 씀
5. 무분별상태를 경험함
6. 견도 직전의 수행 경험
1 난위?:?순결택분
2 정위
3 인위
4 세제일법
7. 도를 봄(見道
1 견도에서의 마음챙김
2 논서의 이야기
5장 _ 육바라밀 수행
1. 유식관
2. 자리이타를 완성하는 수행
1 육바라밀 수행이 수승한 까닭
2 수행(因과 성취된 공덕(果의 관계
3 육바라밀의 순서를 보시부터 정한 까닭
4 육바라밀을 닦는 방법
5 심상 만들기의 중요성
6 바라밀 수행을 찬탄함
6장 _ 체화된 선정과 지혜의 강도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 풀어쓴이 인터뷰
1. 『우리는 우리를 얼마나 알까?』의 부제는 ‘마음대로 풀어 쓴 『섭대승론』’입니다. 부제처럼 이 책의 내용은 『섭대승론』을 바탕으로 스님께서 풀어쓰신 책인데요. 『섭대승론』과 『섭대승론』의 저자인 무착 스님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무착 스님은 인도 북서부 간다라국의 프라쟈프라(현재 파키스탄 페자르에서 태어나(생몰연대는 대략 AD390~480년 경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설일체유부(정신계와 물질계를 구성하는 ‘75가지의 요소[法]’가 실재한다고 주장한 불교의 부파로 출가했습니다.
출가한 이후 교파의 가르침을 학습하고 선정수행에 매진한 결과 욕망을 여읜 선정의식(삼매을 체화했으나, 『반야경』에서 주창한 공(空을 이해할 수가 없어 절망감에 싸인 날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 시기에 아라한과를 성취한 빈두루 스님을 만나게 되고, 그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한 결과 심신탈락의 경지, 곧 자아의식이 사라진 해탈의 경지를 이루게 되면서 자리(自利의 바탕이 되는 자수용지(自受用智를 성취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딘가 미진한 구석이 있는 듯하여 더욱 가열차게 선정수행을 한 결과 삼매 상태에서 미륵보살을 만나 그의 가르침을 배우게 됩니다(깊은 삼매 상태란 의식이 발현되는 인지의 배선망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며, 미륵보살을 만났다는 것은 무착의 지성[불성]이 미륵보살로 나타나 자신의 의문점을 풀어주었다고 하겠습니다. 『대승기신론』 등에서는 이와 같은 경험을 마음이 만든 사건인 줄 모르고 실재의 사건이라고 여긴다면, 귀신의 장난에 놀아난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삼매 상태에서 미륵보살을 자주 만나 그의 가르침을 들었다는 것은 공(空에서 세계상(有이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세계상(有이 조건 따라 사라지는(空 경험을 하게 되면서 공도 공이 아니며 유도 유가 아닌 것을 체험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종이라는 이름에 해당되는 종이로서의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닥나무, 햇빛, 물, 흙, 사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