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4
제 1 장 │ 유식의 의미
01.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마음먹기 나름? 22
02. 오직 마음만 있고 대상은 없다[唯識無境] 25
1. 세상은 내가 본 것처럼 그렇게 있지 않다 25
2. 세상은 마음이 만들었다 29
3. 왜 오직 식뿐이고 대상은 없다고 하는가? 31
4. 유식 논사들의 주장에 반문해 본다 34
제 2 장 │ 식이 전변한 세상 [식전변]
01. 식이 나타낸 아(我와 법(法 50
1. ‘보는 나’가 있고 ‘보이는 세상’이 있다. 50
2. 아와 법은 식이 그럴 듯하게 나타낸 것 53
3. 나에 대한 집착[我執], 법에 대한 집착[法執] 56
4. 무아(無我와 윤회 60
5. 유식(唯識과 법공(法空 63
6. 부파불교에서도 법공을 이야기한다? 66
02. 아와 법을 나타낸 식 70
1. 세 가지 능변식[삼능변식] 70
2. 두 종류의 능변, 종자와 식 72
제 3 장 │ 첫 번째 능변식, 제8식
01. 제8식이 등장하는 이유, 상식으로 생각하기 76
02. 제8식의 여러 가지 이름 80
1. 첫 번째 능변식의 세 가지 모습 80
2. 위치에 따른 제8식의 여러 이름 84
03. 종자와 훈습 87
1. 종자와 훈습, 그리고 현행 87
2. 본래 있는 종자, 새롭게 생긴 종자 91
3. 종자의 조건[種子六義] 95
4. 소훈과 능훈의 조건 97
04. 이숙식의 대상[소연]과 요별 작용[행상] 102
1. 이숙식의 대상[소연] : 기세간, 종자, 유근신 103
2. 이숙식의 요별 작용[행상] : 견분 108
05. 아뢰야식은 폭류처럼 흐른다 111
06.
출판사 서평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마음먹기 나름?
유식사상에 대해 생각할 때 보통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말이 아마도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일 것이다. ‘일체유심조’는 분명한 뜻도 모르고, 출처도 모르지만 일반사람들도 흔히 사용하는 일상용어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일상적으로 ‘마음먹은 대로’ 혹은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뜻으로 이해하곤 한다. 사실, 「화엄경」의 한 구절인 ‘일체유심조’는 유식사상을 한 마디로 표현하는 말로, ‘만법유식’과 같은 의미이다.
일체유심조와 만법유식, 즉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고[一切唯心造]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마음먹기 나름?
유식사상에 대해 생각할 때 보통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말이 아마도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일 것이다. ‘일체유심조’는 분명한 뜻도 모르고, 출처도 모르지만 일반사람들도 흔히 사용하는 일상용어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일상적으로 ‘마음먹은 대로’ 혹은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뜻으로 이해하곤 한다. 사실, 「화엄경」의 한 구절인 ‘일체유심조’는 유식사상을 한 마디로 표현하는 말로, ‘만법유식’과 같은 의미이다.
일체유심조와 만법유식, 즉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들고[一切唯心造] 오직 식뿐[萬法唯識]임을 밝히는 것이 유식사상이다. 마음에 의해 펼쳐진 이 세상은 인연화합에 의해 드러난 것인데, 사람들은 ‘보는 나’와 ‘보이는 세상’이 마음 밖에 실제로 있다고 집착한다. 이렇게 집착된 세상은 결코 있지 않다. 그러나 인연화합에 의해 마음으로부터 언제나 펼쳐진다. 즉 유식사상은 이 세상이 단지 우리 마음의 현현일 뿐 결코 우리가 본 대로 있지 않음을 밝혀낸다. 언뜻 보기에는 쉽지만, 하나씩 따져보면 쉽사리 이해되지 않는 말이기도 하다.
상식에 의문을 품기
저자는 책의 말미에서 솔직한 심정을 고백하고 있다. 모든 것은 마음이 만든다는 ‘일체유심조’를 풀기 위해 불교공부를 시작하였고, 20여 년의 공부 끝에 그 답을 알게 되었다고. 그래서 그 동안의 ‘공부(工夫’를 회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