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나무처럼 자라는 집 : 임형남 노은주의 집 · 땅 · 사람 이야기
저자 임형남
출판사 인물과사상사(인물과사상
출판일 2022-06-20
정가 19,000원
ISBN 9788959066339
수량
추천의 글 : 시간이 갈수록 ? 6
책머리에 : 여전히 집을 짓고 있습니다 ? 10

프롤로그 : 지금, 여기서 ? 20

제1장 집은 땅과 사람이 함께 꾸는 꿈
가족 풍경 ? 27 | 모두가 같이 꾸는 꿈 ? 33 | 집의 온기, 건축의 온기 ? 37 | 내 마음의 꽃밭 ? 41 | 살강 ? 45 | 경계가 없는 ? 50 | 금산주택 ? 54 | 땅에 대한 예의 ? 61 | 까사 가이아 ? 65 | 보이지 않는 집, 기록의 건축 ? 73 | 수납되는 삶에서 벗어나기 ? 77 | 물은 제 갈 길을 간다 ? 81 | 집의 이름 ? 85 | 서백당처럼 살고 싶다 ? 89 | 초심을 지키는 일 ? 93 | 즐거운 마음 ? 97 | 처음도 과정도 결과도 즐거운 중도의 집 ? 101 | 건축의 즐거움 ? 109

제2장 오래된 시간이 만드는 건축
집을 생각한다 ? 121 | 모든 것에는 시간이 담긴다 ? 129 | 궁전의 장엄 ? 132 | 일탈의 공간 ? 138 | 시간을 담은 벽, 통의동 옛집 ? 143 | 명당 ? 148 | 느티나무 그늘 ? 152 | 그림 ? 155 | 좋은 집은 주인을 닮는다 ? 161 | 이야기라는 공간 ? 171 | 마고 할머니와 지리산 호랑이 ? 176 | 비너스 모텔 ? 185 | 청래골 푸른 이끼 집 ? 188

제3장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들
사과 ? 201 | 지리산 바윗돌 ? 204 | 빛 ? 209 | 숭림사 ? 214 | 손때가 묻은 오래된 것들 ? 221 | 속도 ? 224 | 밀레니엄 ? 230 | 산천재 ? 234 | 허위의식 ? 241 | 병산서원 ? 244 | 소외 ? 248 | 송광사 ? 253 | 들꽃처럼 피어나는 집 ? 259

제4장 나무처럼 자라는 집
첫 만남 ? 267 | 상산마을 ? 275 | 설계의 단서들 ? 281 | 땅의 내력 ? 288 | 집을 그리기 시작하다 ? 297 | 첫 번째 보고 ? 303 | 나무가 살린 집 ? 312 | 투명한 집 ? 319 |
‘금산주택’과 ‘제따와나 선원’과 ‘까사 가이아’

금산주택은 충남 금산 외곽, 진악산이 마주 보이는 언덕에 있다. 이 집은 거주 면적 43제곱미터(약 13평, 마루 26제곱미터(약 8평의 소박한 집으로 마루에 앉으면 산이 걸어 들어오고, 발아래 경쾌하게 흘러가는 도로를 내려다보는 시원한 조망을 가졌다. 한옥 같은 느낌이면 좋겠다는 집주인에게 진악산을 바라보는 동서로 긴 집을 권했다. 집의 여러 가지 조건이 600여 년 전의 철학자 이황의 집 ‘도산서당’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이 집은 교육자인 집주인과 책들과 학생들과 동료 선생님들을 위한 집이다. 그리고 서양식 목구조를 적용하되 한국 건축의 공간을 담은 집이다.
임형남?노은주는 “왜 우리는 우리의 몸에 맞지 않는 집을 원하는 것일까요?”라고 묻는다. 현대인들은 집에 집착하고 집의 크기에 집착한다. 그리고 집도 커져야 사회적 성공을 이룬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화려한 집에 담기는 것은 빈곤한 마음이다. 몸에 맞지 않는 옷처럼 집도 사람을 기형으로 만든다. 어느 날 물밀듯이 밀려오는 존재에 대한 회의처럼, 집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집은 달에서도 보일 정도로 큰 신전과 같은 거대한 집이 아니라 생각이 담긴 집이어야 한다. 금산주택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담기면서 자연과 조화롭게 마주 보고 있다. 금산주택은 한국공간디자인대상(2011년과 한국건축가협회상 특별상(2012년을 수상했다.
제따와나 선원은 강원도 춘천에 있는 ‘처음도 과정도 결과도 즐거운 중도의 집’이다. 당시 선원장 스님에게서 불교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설계의 가이드라인 중 사성제는 고집멸도(苦集滅道, 즉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소멸에 대한 고찰이다. 집착을 통한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행 공간이므로 사성제가 기본적인 개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중 가장 인상 깊었던 이야기가 ‘중도’라는 개념이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즐겁다.’ 그래서 과거의 방식과 불교적인 교리를 바탕에 깔되 현대적인 생활 습관에 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