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part 1. 군과 언론에 대한 오해와 이해
언론의 공개주의와 군의 기밀주의, 선악과인가?
군과 언론의 갈등, 풀 수 없는 방정식인가?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자유의 제한, 필요조건은?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자유의 한계
군과 언론 관계, 국가안보와의 상관관계는?
part 2. 군과 언론 관계의 표면과 이면
군의 언론 관련 법과 제도, 행정규칙
군과 언론 관계 선진국의 표면(表面
우리나라 군과 언론 관계의 내면(內面
군사상황 발생 시 취재보도의 원칙과 기준
part 3. 언론에 대한 상식과 이해
매스 미디어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관련 상식과 이론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
미디어 보도 관련 주요 용어
미디어에 작용되는 원리와 이론
미디어 보도 관련 취재 및 보도준칙
미디어 인성과 미디어 리터리시(media literacy
part 4. 사례로 본 군과 언론, 회고(回顧
천안함 피격사건 보도, 팩트와 이념
연평도 포격전과 불타는 K-9 자주포
아덴만 여명작전과 엠바고 파기
제2연평해전과 월드컵 축구 4강 신화
북한 상선 영해 침범과 ‘지혜롭게 대처하라’
제주해군기지 건설 공사, 공보와 심리전의 구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모 매체 선제보도로 추진 중단
북한 미사일 발사,‘요격’ 논쟁으로 비화된 브리핑
part 5. 에피소드로 본 군과 언론, 소견(所見
언론이 만든 용어,‘노크 귀순’
‘맹물 전투기’와 ‘갈지자(之함정’
용어의 재구조화와 의미 변화, ‘군대문화’와 ‘군사문화’
군인과 기자, 기자와 기자님
취재원 보호와 나쁜 기자, 당국자와 기자
출입처제와 개방형 브리핑제, 출입기자와 등록기자
보도자료와 보도기사, 인터뷰와 브리핑
언론통제, 언론협조, 언론관리
언론 대응, 정답과 요령(要領
성과확산 커뮤니케이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part 6. 동반자로 본 군과 언론을 위한 소고(小考
군과 언론 협의기구 신설, 교류협력의 제도화
군과 언
<책속에서>
나는 언론홍보를 특기로 하는 군인이 본분이었지만 때로는 군의 입장이 아닌 언론의 입장에서(정확히는 군과 언론 사이에서 군을 바라봐야 할 때도 있었다. 각종 사건·사고 시에는 유가족과 민간의 입장에서, 남북 간의 중대한 군사적 충돌 사태나 상황이 발생할 때는 국가안보의 최후보루인 군을 바라보는 국민의 관점에서 보고 듣고 판단하며 임무를 수행하였다.
어떠한 상황과 경우이든 군의 대내외 언론업무에 대한 책임자로서 상식과 합리를 추구하며 사람과 조직, 직무에 대한 진정성과 사명감으로 매사에 최선을 다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곤혹스러웠지만 언론에 대한 이해가 낮은 고위직책의 윗사람들에게 충언과 직언을 주저하지 않았고, 특히 대언론 위기관리를 위한 전략 커뮤니케이션에는 한 치도 망설이지 않았다.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전, 아덴만 여명작전, 제주해군기지 건설 등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큰 이슈들이 이어지는 동안 국방부 공보책임자로서 느끼는 무게와 책임감은 하루하루의 일상을 짓누를 만큼 컸다. 일종의 번 아웃(burn out 상태에 이를 정도로 지치고 힘든 기간도 있었다. 그러나 내색할 틈도 없이 크고 작은 현안은 계속 나타났다. 그 한가운데서 물불 가릴 틈 없이 일한 것 자체가 존재의 의미이자 보람이었다고 스스로에게 위안을 주고자 한다.
나는 군과 언론관계가 왜곡되지 않아야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군이 될 수 있다는 신념하에 군과 언론의 불편한 진실에 대해서도 잔머리 굴리지 않고 정면으로 돌파하고자 노력하였다. 군이든 언론이든 잘못된 것은 바로잡고자 애를 썼다. 그러다 보니 상처뿐인 영광만 남는 경우도 있었다. 쌓인 상처만큼 군과 언론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반비례한 적도 없지 않았다.
모든 것은 시간이 해결해 준다고 한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적기(適期 즉 타이밍이 중요하다. 타이밍을 놓치고 나면 팩트를 알게 되고 진실을 알게 된들 별 소용이 없는 경우가 많다. 언론과 관련된 일은 더욱더 그러하다. 어쩌면 이 책도 타이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