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대 전쟁
1장 중국 국민정부의 항일유격전 _기세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일 유격전 실시 배경
3. 국민정부의 유격전 체제와 훈련
4. 국민정부군의 대일 유격전 실시 현황
5. 맺음말
2장 베트남전쟁의 재평가와 현대 전략적 함의 _박민형
1. 머리말
2. 베트남전쟁의 배경과 원인
3. 북베트남의 전쟁 전략 분석
4. 베트남전쟁의 주요 경과
5. 베트남전쟁 결과 분석
6. 한반도 안보에 주는 현대 전략적 함의
3장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 사이의 전쟁 패러다임 변화 _손경호
1. 머리말
2. 전쟁 패러다임 변화의 척도
3. 걸프전쟁
4. 이라크전쟁
5. 맺음말
4장 1999년 인도·파키스탄 ‘카르길 전쟁’: 핵보유국에 대한 ‘전략적 강압’ _손한별
1. 머리말
2. 이론적 검토
3. 카르길 전쟁
4. 한국에 주는 함의
5. 맺음말
2부 21세기 동북아 주요 국가의 전략 경쟁
5장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핵전략: 제한핵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_이병구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전환기 미국의 국제관계 인식: 강대국 경쟁 시대의 회귀
3. 군사과학기술의 발전과 핵억제의 불안정성 증가
4. 미국의 제한핵전쟁 대비 태세 강화
5. 21세기 제한핵전쟁의 위험성과 한국 안보에 주는 함의
6장 미중 전략적 경쟁 시대 일본 아베 정부의 안보 및 군사전략 _박영준
1. 머리말
2. 미중 간 전략적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 질서 변화
3. 미중 간 전략적 경쟁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대응전략
4. 안보정책 및 미일동맹: ‘다차원 통합방위력’과 인도·태평양 구상
5. 아시아 정책의 새로운 전개: 대중 및 대북 정책
6. 맺음말: 한국 안보정책에의 함의
7장 중국의 대전략 전환과 글로벌 영역에서 국방의 역할 확대 _박창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전략과 국방의 역할 확대
3. 중국의 첨단 군사력 건설 동향 및 평가
4. 주
주요 국가들의 전략 변화
2부에서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와 우리의 관계 변화를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각국의 전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했다.
5장에서는 제한핵전쟁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배경을 고찰하고, 제한핵전쟁 대비를 위한 미국의 핵전략과 정책 변화를 짚어보았다. 이를 통해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핵위협 증가 가능성과 북한 핵위협 유지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일곱 가지 분야의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6장에서는 일본 정부의 안보전략이 동아시아 전체의 안보 정세 변화 속에서 어떤 대응을 보이고 있고, 자위대 및 미일동맹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고찰해 일본 안보정책의 변화가 한국 안보정책에 주는 함의를 도출했다.
7장에서는 강대국으로 부상하기 위해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중국의 대전략 변화를 『국방백서』와 건국 70주년 열병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국의 국방이 국제질서 변화를 꾀하는 중국의 야심찬 대전략 이행 목표를 가속화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밝혔다.
8장에서는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의 전략사상을 분석한다. 국제사회의 주요 행위자이자, 북한 인민군의 모델로서 러시아의 전쟁관과 전략사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러시아 전략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분석하고 푸틴의 하이브리드 전쟁이 미국 등 서구의 전략사상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로 발전되었음을 증명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과 우리의 군사 전략
우리나라의 군사전략과 안보전략에 대해 논한다면 북한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북한은 핵을 단순한 정치적 협상용에서 군사적 용도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9장에서는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군사전략을 총체적으로 분석했다. 역사적·이념적·정치적 맥락에서 북한의 군사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북한의 군사전략을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북한에 대한 우리나라의 정책도 그 성격이 변화를 거듭해 왔다. 때론 햇볕정책을 펼치기도 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