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1장 실천적 유물론자 카를 마르크스
나의 철학적 세계관은 무엇일까
실천적 유물론자, 공산주의자, 혁명가
마르크스의 과학: 고차적 유물론으로서의 과학
마르크스의 유물론과 변증법의 핵심: 타자의 타자성을 지향하는 실천
실천 활동의 근원: 자기의식
2장 『자본론』 읽기
『자본론』이라는 숲의 전체 모습은 어떨까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세포인 상품과 화폐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화폐는 어떻게 자본으로 변신하게 되는가
자본은 어떻게 자기 몸집을 불려나가는가
자본의 유통과정에 대한 이해, 핵심은 총체성
자본주의적 생산의 총과정에 대한 이해: 변증법적·과학적 이해
3장 철학의 이정표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애덤 스미스, 『국부론』
루트비히 폰 포이어바흐, 『기독교의 본질』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정신현상학』
프리드리히 엥겔스, 『자연변증법』
블라디미르 레닌, 『철학 노트』
생애 연보
참고 문헌
나의 철학적 세계관을 묻는 책
20세기 사회주의 실험을 배태하고, 자본주의 경제에 경종을 울린 사상
마르크스는 1860년대 초부터 평생의 역작을 쓰기 시작했다. 세 권짜리 『자본론』과 『잉여가치론』이었다. 『잉여가치론』은 애덤 스미스 등 앞선 고전 정치경제 이론들에 대해 논하는 내용인데, 때로는 이것이 『자본론』 제4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1867년에 『자본론』 제1권이 출판되었다. 『자본론』 제2권(1893년 7월과 『자본론』 제3권(1894년 10월은 마르크스가 생전에 완성하지 못했고 원고로만 남았다. 두 권 모두 마르크스가 죽은 뒤에 엥겔스가 출간했다.
제1권(자본의 생산과정의 내용은 자본주의의 생산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여기에서 마르크스는 자본이 이윤 또는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과정, 그리고 자본이 자본 관계(노동에 대한 자본의 착취 관계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제1권의 중심 내용은 제3편(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에서 제7편(자본의 축적 과정 사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편(상품과 화폐, 제2편(화폐가 자본으로 전환은 이 중심 내용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고 있으며, 제8편(이른바 시초 축적은 중심 내용의 역사적·현실적 형성 과정과 사례를 밝히고 있다. 자본가는 이윤을 얻기 위해 일반적으로 화폐 형태로 투자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1편에서 화폐가 무엇이며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상품을 분석할 수밖에 없다. 그런 다음 제2편에서 화폐가 자본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8편에서 한편으로 거대한 부가 어떻게 소수의 수중에 집중되고, 다른 한편으로 어떻게 나머지 모든 사람들이 생산수단을 가지지 못한 채 노동력을 팔지 않으면 안 되는 처지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지가 서술되어 있다.
제2권(자본의 유통과정에서는 자본이 잉여가치를 생산하고 실현하기 위해 운동(유통할 수밖에 없는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자본가가 투자한 화폐가 증식하는 과정, 즉 화폐가 생산수단과 노동력으로 투자·전환되어 이 두 생산요소가 상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