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평등한 시간, 평등한 공간: 아이들의 해방 체험
1장 한국에서 ‘다문화’로 산다는 것: 상처를 말하며 서로 연결되다 이향규
다문화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이기까지 | ‘솔직 토크’를 위한 질문들 | 공감의 말들 | 타인이 나를 부르는 말에 대하여
2장 고려인 청소년들의 흔들림과 어울림: 이야기할수록 단단해진다 김기영
고려인, 다문화 학생, 그리고 중도입국 청소년 | 라이프사이클, 청소년 삶이야기의 시작 | 헤어짐과 이산: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공통 감정 | 태어난 곳, 사는 곳, 살고 싶은 곳
3장 한국, 탈북, 다문화 학생의 만남: 어떻게 함께 살 수 있을까 이향규
‘삶이야기’의 확대 | 사람책 도서관, 타인을 향한 고정관념과 편견 돌아보기 | 내 이야기를 하는 시간: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과 지금 걱정하는 것 | 네 이야기를 듣는 시간: 내 상처 보기 | 대화는 다름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 통일한 사회, 나의 삶 상상하기 | ‘타인과의 만남’을 배우다
2부 개인으로 이야기하기: 국적과 이념, 가해자와 피해자의 벽을 넘어
4장 냉전의 한복판을 관통해온 사람들: 다름을 이해하고 같음을 뛰어넘기 조일동
온전한 개인으로 만나다 | 모든 삶이야기의 시작점 | 대화는 어떻게 화해의 도구가 되는가 |이야기하기, 경청하기, 묻고 답하기 | 차별의 토로는 차별의 시선을 거둔다
5장 밀려났다가 돌아오고 정착했다가 떠나는 사람들: 경계를 초월한 경험 문현아
역사를 현실로 살아낸 사람들 | 고향의 정의 | “앉은 자리에서 세 나라를 겪은 셈입니다” | 글로벌 이주 시대에 맞는 질문
3부 공감의 연결 고리를 찾아서: 여성, 이주, 가족
6장 젠더와 가족: 경계를 넘어 차별과 억압 경험을 나누다 최은영
타인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과 화해하기 | 가족이라는 아픈 속살을 드러내다 | 결혼이주 여성에게 안전한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 가장이 된 여성들, 국경을 넘다
7장 다시 만난 코리안 여성들: 사적이고 작은 이야기로
다문화 어린이, 탈북민, 고려인 청소년, 이주여성, 사할린노인…
어디에서도 들어보지 못한 생생한 삶이야기,
글로벌 이주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대화 지침서
사람과 사람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상대방의 삶의 경험을 알고 공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대개는 그 과정을 생략하고 지역, 직업, 학력, 가족 같은 단편적인 정보만 가지고 상대방을 규정하거나 판단한다. 심지어 다른 나라의 언어를 쓰거나,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만나면서도 그 최소한의 이해 과정을 생략하기도 한다(257쪽. 사할린동포인 참가자의 “한국에 와서 벌써 14년을 살았는데, 뭐∼ ‘어데서 왔느냐’ 하는 말은 있지만 ‘어떻게 살았느냐’ 하고 물어보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습니다”는 말은 우리 사회가 이주민을 대하는 태도를 단편적으로 보여준다.
한국사회는 전체 인구에서 이주민이 5%를 넘는 다문화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우리는 다른 언어를 쓰거나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미디어와 가짜뉴스에서 퍼뜨리는 다른 집단을 향한 경계심과 혐오 감정을 어떻게 걸러내야 하는지, 상대방을 편견 없이 대하려면 무엇부터 해야 하는지에 관해 배우고 싶다. 그런 점에서 《공감대화》는 글로벌 이주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새로운 대화 지침서가 될 것이다. ‘어디서 왔고, 몇 살이고, 결혼은 했는지’ 대신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물어본다면 관계의 질이 한 단계 높아지지 않을까.
이 책은 총 4부에 걸쳐 대화는 어떻게 화해와 치유의 도구가 될 수 있는지, ‘타인과의 만남’을 배운다는 것은 무엇인지 참가자들의 역동적인 대화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한다.
1부, ‘평등한 시간, 평등한 공간: 아이들의 해방 체험’에서는 다문화 배경 초등학생들이 상처를 말하며 서로 연결된 이야기 캠프, 고려인 중학생들이 이산과 이주의 어려움을 나눈 이야기 모임, 통일교육과 다문화 교육을 연결하고자 시도한 한국, 탈북, 다문화 배경 고등학생들이 나눈 공감대화를 소개한다. “다문화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