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리 알려 드리는 말씀
제1장 산의 이해
1. 기본 되는 개념
2. 세상의 산줄기
3. 땅 이름의 생성 기제
4. 산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지형·지명들
5. 특별히 유의할 점
6. ‘팔공산하’ 읽는 법
제2장? 고래산서 팔공까지
7. 어디서 출발해 무엇을 거쳐 왔을까
8. 공산성 봉우리
9. 칼바위등
10. 명칭 정리의 호기를 포기하다
11. 천왕봉과 비로봉
12. 그 이후는 어디로 갈까
제3장 본채 주릉의 전개
13. 어디서 어디까지를 주릉으로 볼까
14. 쐐고개와 붓필재 사이
15. 붓필재(빗필재 일대
16. 가산권
17. 834m 파계봉 권역
18. 물불봉 산덩이
19. 해발 1000m대 구간 4.5km
20. 서봉과 동봉
21. 동부 구간
제4장 별채의 발생과 이중구조
22. 한 눈에 살피는 팔공산 구성
23. 남사면의 이중구조
24. 무엇을 닮았을까
25. 왜 ‘팔공산’일까
제5장 사람이 태어나고 산신이 등장하다
26. 팔공산의 봄
27. 그 자락에 사람이 깃들다
28. 천제(天帝를 뵙는 곳
29. 하늘 아들 천왕이 인간세의 산신 되다
30. 성벽이 된 산줄기, 능성(稜城
31. 경산 갓바위골과 은해사지릉
32. 대구 갓바위골과 백안지릉
33. 인봉학부지릉과 북지장사골
34. 학부마을 느패골, 그리고 삿갓봉지릉
35. 신령스런 산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을까
36. 천왕, 산신, 이번엔 장군으로
제6장 불교로 융합되다
37. 7세기, 부처님이 좌정하다
38. 운부암지릉과 은해사계곡
39. 신녕천남맥과 신원리계곡
제7장 신라 패망기, 새 시대를 희구하다
40. 미륵신앙을 품어 들인 동화사
41. 동화사계곡 서편 외곽 미곡동지릉
42. 북편 외곽이 되는 동부주릉
43. 동화사계곡 여러 골짜기들
44. 동화사계곡 변천사
제8장 왕건의 전설, 들밑재산군
45. 왕건의 등장
46. 영남권의 소외, 고승들의 등장
47. 들밑재산군
48. 엉
출판사 서평
‘新 팔공산하’는 대구경북의 정신적 의지처이자 구심점인 팔공산 권역을 총체적으로 파악해 보여주는 최초의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新 팔공산하’는 2006년 발간된 ‘팔공산 2005년의 기록 · 팔공산하’의 개정증보판으로 초간본이 놓쳤던 것들을 보완하고 팔공산 자체에 더욱 집중했다. 초간본에서 얻어진 정보와 식견에 그 후 여러 전문가들의 연구 성과, 저자가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쌓아온 지형`지명 및 생활상 조사 경륜 등이 합쳐져 더욱 광범하고 깊은 탐색을 통해 완성됐다.
팔공산 권역을 총체적으로 파악해 보여주는 종합인문지...
‘新 팔공산하’는 대구경북의 정신적 의지처이자 구심점인 팔공산 권역을 총체적으로 파악해 보여주는 최초의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新 팔공산하’는 2006년 발간된 ‘팔공산 2005년의 기록 · 팔공산하’의 개정증보판으로 초간본이 놓쳤던 것들을 보완하고 팔공산 자체에 더욱 집중했다. 초간본에서 얻어진 정보와 식견에 그 후 여러 전문가들의 연구 성과, 저자가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쌓아온 지형`지명 및 생활상 조사 경륜 등이 합쳐져 더욱 광범하고 깊은 탐색을 통해 완성됐다.
팔공산 권역을 총체적으로 파악해 보여주는 종합인문지리서
팔공산의 족보 말끔히 정리·별채 산군 3곳 정밀한 산줄기그림 제시
‘新 팔공산하’가 거둔 성과 중의 하나는 팔공산의 족보(산보를 말끔히 정리한 것이다. 백두대간에서 낙동정맥이 갈라지고 낙동정맥에서 팔공기맥이 갈라져 팔공산으로 맺히는 흐름을 산줄기그림과 함께 세밀하게 보여준다. 자연지리적으로는 낙동강 물길의 중허리를 받쳐 유로를 결정하며 인문지리적으로는 한국전쟁 때의 최종 방어벽이 돼 주었다는 것에서 팔공기맥의 의미를 짚고 있다.
팔공산 권역을 본채와 별채로 분간해 자세히 들여다보고 감투봉산군, 도덕산산군, 들밑재산군 등 세 개의 별채 산군에 대해 정밀한 산줄기그림을 제시하고 그동안 잘못 알려져 온 여러 사안 정보를 정리하는 성과도 도출했다. 초례봉이 국가기본도에서 여러 가지로 잘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