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 민주주의와 갈등: 왜 민주주의는 갈등을 필요로 하는가?
1. 왜 갈등인가 / 2. 갈등: 민주주의의 정치사회적 기반 / 3. 두 종류의 갈등
4. 갈등과 정당간 경쟁의 동학 / 5. 갈등에 기반을 둔 민주주의론의 중요성
2장 | 국가와 시민사회: 왜 여전히 강력한 국가를 말하는가?
1. 왜 다시 국가-시민사회인가? / 2. 시민사회의 의미
3.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구조와 역할의 변화 / 4. 왜 다시 강력한 국가인가?
5. 국가에 선별적으로 흡수된 시민사회
3장 | 사회적 시민권: 신자유주의와 한국 민주주의
1. 왜 사회적 시민권인가? / 2. 신자유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3. 한국 사회와 사회적 시민권 / 4. 절차적 가치로서의 사회적 시민권
4장 | 운동론과 민주주의: 민중, 시민, 그리고 시민권
1. 오늘의 한국 민주주의 / 2. 민주화와 민중, 그리고 운동권 담론
3. 민주화 이후 운동권 담론과 정서적 급진주의
4. 운동권의 민주주의관과 산출 중심의 정치 개혁
5. 민주주의론의 재구성: 민중, 시민, 시민권 / 6. 보편적 시민권에 기초한 민주주의의 길
5장 |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민주화 이후 20년의 시점에서
1. 들어가는 말 / 2. 광주항쟁은 민주주의로의 이행에서 무엇이었나?
3. 광주항쟁은 민주주의의 공고화에서 무엇이었나?
4. 광주항쟁은 오늘의 시점에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나? / 5. 맺는 말
6장 | 이명박 정부의 등장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1. 17대 대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진보파는 어떻게 패배했고, 보수파는 어떻게 승리했나?
3. 향후 어떤 전망을 갖게 되나?
출판사 서평
최장집 교수가 진단하는 한국 정치의 현실
이 책에서 저자 최장집 교수는 독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음으로써 부응하는 일관된 면모를 다시 한 번 보여준다. 기대에 부응하지 않는다는 말의 의미는 이렇다. 2002년 출간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이래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의 성공을 평가할 때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적 징후를 말했고, 지역주의?지역 갈등의 폐해를 개탄하는 사람들에게는 사회경제적 갈등의 의미와 효과에 주목할 것을 요구했으며, 민주주의 위기에 “다시 운동으로 돌아가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는...
최장집 교수가 진단하는 한국 정치의 현실
이 책에서 저자 최장집 교수는 독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음으로써 부응하는 일관된 면모를 다시 한 번 보여준다. 기대에 부응하지 않는다는 말의 의미는 이렇다. 2002년 출간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이래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의 성공을 평가할 때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적 징후를 말했고, 지역주의?지역 갈등의 폐해를 개탄하는 사람들에게는 사회경제적 갈등의 의미와 효과에 주목할 것을 요구했으며, 민주주의 위기에 “다시 운동으로 돌아가자”는 주장에 대해서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당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응수했다. 그럼에도 기대에 부응한다고 말할 수 있는 까닭은 이 책 『민중에서 시민으로』에서도 한국 정치에 대한 기존의 지배적 편견이나 ‘상식화된 견해’에 부족함을 느끼거나 비판적인 독자들에게 한국 민주주의와 그 문제를 이해하는 저자의 일관된 견해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책에도 한국 정치와 민주주의에 대해 정치권이나 언론에서 자주 운위되는 지배적인 견해와는 매우 상반된 주장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 위기에 대해 ‘소통’을 강조하는 시점에서 오히려 민주주의에서는 갈등이 보다 중요한 의미와 효과를 갖는다 말하며, 신자유주의 반대를 외치는 사람들에게는 왜 그것만으로는 어떤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기 어려운지를 설명한다. 또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