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에 부쳐 6
서론: 신족과 거인족 11
I. 이데아와 시뮬라크르 25
1. 분할술의 의미 35
2. 시뮬라크르, 거짓, 비존재 60
3. 신족과 거인족 사이: 역능으로서의 실재 94
4. ‘koinonia’의 문제 124
5. 타자로서의 비존재 133
II. 시간, 생명, 창조 149
1. 생성의 무죄 153
2. 영원회귀와 역능의지 195
3. 초인에의 길 227
4. 존재와 시간 254
5. 생명의 약동 300
6. 창조하는 삶 336
결론: 생성에서 존재로 361
보론1: 시뮬라크르와 시뮬라시옹 367
보론2: 플라톤과 원근법의 문제 381
찾아보기 409
서구 존재론의 두 축을 살펴본다
플라톤, 그리고 니체와 베르그송
플라톤 사유는 선별에의 의지를 깔고 있으며, 그 의지를 근거 짓는 것은 이데아론이라는 존재론이다. 이데아가 존재하면 선별이 가능해지므로 플라톤 사유의 이해와 평가의 초점도 이데아론에 맞추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진리와 시뮬라크르에 대한 플라톤의 이분법은 니체에 이르러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 니체에게 모든 해석은 이 세계의 시뮬라크르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가 인식하는 것이 하나의 해석이자 관점이 된다. 니체와 더불어 베르그송은 생성존재론의 형태를 정립함으로써 현대 철학을 가능케 했고, 니체와 베르그송의 존재론사 해체를 통해 비로소 시간의 의미가 현대 철학의 중심이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전환을 “존재에서 생성으로”라고 일컬으며, 이 사유의 전환은 후에 화이트헤드와 하이데거, 들뢰즈에까지 이어진다.
기존의 선악 개념을 해체한 니체와 달리 베르그송은 사랑의 약동을 외치면서 열린 사회를 지향했다. 물론 둘 모두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지평에서 실천철학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를 품고 있으나, 그럼에도 플라톤주의의 형태를 띠고서 흘러온 서구 존재론사를 근본에서 해체하고 생성의 존재론과 윤리학의 근본 형태를 만들어낸 인물들이다. 현대 존재론의 초석을 놓았다 할 수 있는 이들, 니체와 베르그송과 플라톤의 사유를 대비시키면서 우리는 서구 존재론의 핵심적인 두 축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시뮬라크르 시대,
지금을 이해하기 위하여
들뢰즈와 보드리야르를 통해서 우리에게도 익숙한 용어가 된 시뮬라크르나 시뮬라시옹. 전자는 사건, 운동, 이미지 등등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들을 다루는 존재론이고, 후자는 가상현실, 인터넷, 모조품 등등 인공물들의 시대를 다루는 문화 이론이다. 책에서 저자는 이 두 개념이 플라톤이라는 하나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개념적이고 원리적 기초를 통해 검토해야 함을 주장한다.
SNS와 메타버스로 가상현실이 그 어느 때보다 우리 일상으로 깊게 침투한 시대를 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