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_ 전범수
제1장 사회적 공공 이슈와 방송 _ 정현주
1. 사회적 공공 이슈 | 2. 방송 속에서의 사회적 공공 이슈
제2장 방송 저널리즘 _ 홍성철
1. 한국 방송 보도의 시작과 발전 | 2. 방송 뉴스의 가치와 방송 뉴스 작법 | 3. 방송 뉴스의 취재 및 보도 과정과 게이트키핑 | 4. PD 저널리즘
제3장 방송 조직 _ 조재희
1. 조직의 기본 개념 | 2. 방송 조직의 기본적인 구조 및 직무 | 3. 방송 조직의 운영 | 4. 방송 조직의 통제와 조직 문화
제4장 주요 방송법과 정책 _ 박성순
1.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 그리고 알 권리 | 2. 저작권 | 3. 퍼블리시티권, 전속계약 문제 등
제5장 방송의 영향력 _ 최믿음
1. 미디어 효과에 대한 역사적 인식 변화 | 2. 시기별 주요 미디어 효과 이론과 사례 | 3. 정리하며
제6장 텔레비전 체제의 변동과 새로운 방송 시청 관습의 이해 _ 이소은
1. 서론: 방송을 본다는 것 | 2. 텔레비전 체제와 일상생활의 구조화 | 3. 텔레비전 체제의 변동 | 4. 새로운 방송을 이해하기 위한 물음들 | 5. 결론: 방송 시청의 이해, 일상생활의 이해
제7장 방송 시장 경쟁 지형 변화 _ 김정환
1. 전통 방송사업자의 지위 하락 | 2. OTT 서비스의 성장 | 3. 구독 기반 모델의 성장과 의미
제8장 1인 미디어의 확산과 영상 시장의 변화 _ 유수정
1.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와 1인 미디어 등장 | 2. 1인 미디어의 특성 | 3. 1인 미디어 생태계의 주요 플레이어 및 관계 | 4. 1인 미디어 성장과 고민
제9장 유튜브 시대의 저널리즘과 방송 뉴스 _ 유용민
1. 뉴스 플랫폼으로서 유튜브의 등장 | 2. 유튜브 시사·정치 채널의 부상 | 3. 유튜브와 저널리즘의 관계 | 4. 유튜브 저널리즘 현상의 성격과 효과 | 5. 유튜브 플랫폼과 방송 저널리즘 | 6. 결론: 유튜브 시대 방송 저널리즘의 과제와 역할
이 책은 기술적 진보로부터 촉발된 방송 환경 변화가 기존의 방송학 대신에 새로운 개념의 방송학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출발했다. 또한 그동안 방송 및 미디어를 비교적 최근에 집중적으로 연구해 왔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필진이 구성되었다. 그만큼 변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송 및 디지털 미디어 영역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책의 필진으로 참여하고 있는 저자들은 비교적 독자적으로 자신의 연구 영역에서 전통적인 접근과 새로운 변화를 포괄하는 능력이 있는 분들로 구성했다. 총 아홉 분의 연구자들이 책의 저술에 참여했으며 각 연구자들이 방송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검토했다. 이 책의 특성에 대해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책에는 기본적으로 방송의 전통적인 사회적 영향력을 다룬 세 개의 장이 있다. 제1장 “사회적 공공 이슈와 방송”, 제2장 “방송 저널리즘”, 제5장 “방송의 영향력”은 방송이 여전히 시사와 저널리즘의 기능을 통해 사회적 쟁점 환기와 공론화 과정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이론화하는 학술적 관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제3장 “방송 조직”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주체로서의 방송사 조직의 기본적인 특성과 변화에 대응한 쟁점들을 다루고 있다. 방송 프로그램은 개인별 인적 자원도 중요하지만 이를 총괄적으로 관리·조정하는 조직의 산물이다. 방송 조직은 내부적으로 창조적 작업군과 함께 기자, 기술, 행정 등 다양한 직군의 인적 자원들이 혼합된 복합 조직이다. 이들 방송 조직의 유기적 흐름이 잘 맞고 안정적인 재원이 유지될 때 품질 높은 방송 프로그램이 생산될 수 있는 만큼 방송 조직에 대한 이해는 중요한 부분이다.
다음으로 방송은 공익성 및 공공성 기준이 적용되는 사회적·개인적 미디어 중 하나이다. 여론이나 정보 유통에서 방송이 갖는 영향력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그 결과, 방송을 사적으로 활용하기보다는 공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를 다루는 제도적 틀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