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 달은 어디에서 왔을까
2. 공룡 멸종의 비밀, 달에서 찾는다
3. 왜 늑대인간은 보름달을 보면 변신할까
4. 달이 사람의 운명을 결정한다?
5. 밀물과 썰물은 왜 일어날까
6. 달의 왕국 신라
7. 조선이 꾼 달나라 여행의 꿈
8. 소련, 달의 뒷면을 쏘다
9. 작은 발걸음, 위대한 도약
10. 그래서 아폴로가 정말 달에 갔다고?
11. 우주인을 달로 쏘아 올린 지구인들
12. 밤하늘의 달을 따 온 사람들
13. 지구에서 달까지, 달에서 알박기
14. 이제 다누리가 달에 간다
참고문헌
달 탐사선, 달착륙 조작설, 늑대인간, 드루이드, 삼국사기에 이르기까지
달에 관한 온갖 TMI를 아우르는 종횡무진 달 이야기 열네 마당
“학부형님들에게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귀한 자녀가 원하는 ‘용가리’ 구경을 부디 거절하지 마십시오.
즐겁고 건전한 공상 속에서 얻는 과학지식은 아름다운 꿈을 창조하기 때문입니다.”
1967년 영화 〈대괴수 용가리〉가 개봉할 때 신문 광고에 실렸던 홍보문구다. 이 문구가 어울리기로는 저자만한 사람이 또 없지 않을까? SF와 괴담, 괴물 이야기에도 정통한 저자는 『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에서도 그러한 소양을 마음껏 뽐낸다. 〈대괴수 용가리〉도 그중 하나다. 저자는 SF영화, SF드라마, 유럽과 한국의 괴담 및 설화 등 다양한 이야기를 자유자재로 넘나들면서 이를 밑바탕으로 달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과학자가 쓴 달 탐사 책에서 늑대인간, 마녀, 외계인 이야기가 펼쳐지는 것은 그야말로 진풍경이다. 얼핏 전혀 얽히지 않을 것 같은 소재들이 그의 손에서 자연스레 어우러져 한 편의 글로 엮여 나가는 모습을 차근차근 따라가다 보면 감탄사가 절로 난다. 그것은 말 그대로 ‘공상 속에서 얻은 과학지식’이 아름다운 꿈으로 피어나는 광경이다.
그러나 〈대괴수 용가리〉의 홍보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지점이 있다면, 이렇게 공상을 밑거름으로 탄생한 과학이 때로는 상상을 아득히 초월해버린다는 점이다. 영화에 나온 용가리의 크기는 대략 구 서울시청 건물의 2배에 못 미친다. 전고 약 50~60m로 추정되는 크기다. 그 외의 다른 SF영화, 소설 등에 나오는 괴물들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십수 미터에서 수백 미터로 다양하지만 대체로 ‘상상의 범위’를 벗어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로켓이 출동하면 어떨까? 인류의 달 착륙을 이끈 역사적인 주역, 새턴5호 로켓의 사양을 보면 저절로 기가 찬다. 높이 111m, 총중량 2,950t에 이른다. 어지간한 동네 뒷산보다 큰 크기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거대한, 흰수염고래 300마리의 무게에 달하는 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