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 23
서문 | 27
서론 | 31
제1장: 이스라엘과 열방 | 45
시작점들 | 50
하나님과 세계 | 50
하나님과 인류 | 56
하나님과 이스라엘 | 59
왕국과 유배 | 64
다윗의 집, 그리고 하나님의 집 | 64
예언과 약속 | 69
속량에 대한 기대 | 77
제2장: 조국, 그리고 모도시 | 87
이교도들 사이에서의 유대인들 | 100
유대인들 사이에서의 이교도들 | 129
성전 | 129
회당 | 139
제3장: 바울: 선교와 박해 | 153
바울은 누구였으며,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154
유대인 형성 | 160
할례를 전파하기? | 173
종말론적 이방인 | 183
증인, 저항, 그리고 "박해 | 192"
제4장: 바울과 율법 | 227
복음과 이방인 할례 | 228
"율법 없는" 선교와 "율법 없는" 사도? | 252
여러 신들과 한 분 하나님 | 261
민족적 구별 | 262
율법, 에트네, 그리고 "이신칭의" | 273
율법의 저주 | 280
제5장: 그리스도와 왕국 | 301
다윗의 아들 그리스도 제1부: 에스카톤/종말 | 305
다윗의 아들 그리스도, 제2부: 로마서 | 322
간주곡: 열방이 돌아옴 | 333
혈통/휘오테시아 | 337
구별/하기아스모스 | 343
합창 교향곡: 바울의 로마서 | 351
로마서 2-7장: 이방인을 유대화할 때의 문제들 | 356
로마서 9-11장: 이스라엘과 열방 | 361
후기 | 377
감사의 말 | 391
약어표 | 397
참고 문헌 | 400
일차자료 | 400
이차자료 | 404
색인 | 436
인명 및 지명 색인 | 436
고대 문헌 및 저자 색인 | 447
주제 색인 | 466
책 속으로
선지자 미가는 이런 말을 남겼다. “모든 민족들이 각기 자신의 신의 이름을 의지하여 걷지만, 우리는 영원토록 우리의 신 여호와의 이름으로 걸으리라”(미 4:5. 시편 기자는 또 이렇게 말한다. “하나님은 신들의 모임 가운데에 서시며 하나님은 그들 가운데에서 재판하시느니라”(시 82:1, 개역개정. 또 어떤 경우에는 이 신들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에게 힘으로 압도당하거나(하나님의 “국제적인” 혹은 민족을 초월하는 힘과 권세를 강조하는 시 82:6-8과 같은 본문들, 혹은 이방 민족들이 그 신들의 형상에 경배하는 것 때문에 조롱거리가 되기도 한다(시 95:5; 97:7; 사 44:6-20. 종종 그들은 이스라엘의 신과 대조되어, 열등한 위치를 갖는다. (모세는 출 15:11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여호와여 신 중에 주와 같은 자가 누구니이까”[개역개정]. 그리고 시 97:7은 이렇게 소리 높인다. “너희 신들아 여호와께 경배할지어다”[개역개정]. 그러나 지금 강조하려는 논점은, 성서의 몇몇 본문은 이 다른 신들의 존재에 대해서 기정사실로 언급한다는 것이다. 즉, 그들은 존재한다. 성서가 다른 신들을 인정한다는 점에 대해 현대 독자들은 놀랄 수 있다. 고대 유대인들은 “유일신주의자들monotheists”이 아니었던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p53-54
그러나 민족성과 종교 사이의 이런 구별은 고대 지중해 세계에서는 성립하지 않았고, 당시 세계에서는 신들과 인간들이 친족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바울이 살던 시기에는 종교적으로 “중립적”인 민족성이란 존재하지 않았다. 바로 이 때문에, 즉 고대인들이 본질적으로 (그들의 신들과의 관계 속에 있었기 때문에, 나는 1세기의 에트네, 곧 비-유대인들을 가리킬 때, (종교적으로 중립적인 민족적 용어 “이방인” 보다는 (종교적으로 특수한 민족적 용어 “이교도”를 더 자주 사용할 것이다. 나는 “탈-이교적 이교도들ex-pagan pagans”이라는 표현을 통해, 예수 주변으로 형성된 메시아 운동의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