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내가 쓴 것이 나다
1장 갈증의 언어 “언어는 언제나 현실보다 늦게 당도한다”
공부는 생존이다 _우리는 매일매일
젠더와 ‘제 정신’ _비밀은 없다
세상의 모든 숫자 _암수살인
피해를 공유하는 윤리 _스톱
내 영화를 망친 그들의 연대 _‘제이슨 본’이라는 남자
위치성과 지성 _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
2장 통증의 위치 “나는 어디에서 말하고 있는가”
우울과 중력 _그래비티
사랑과 사랑한다는 주장 _밀리언 달러 베이비
외로움, 나는 말하고 싶다 _피고인, 화양연화
관객의 경험 _우리들의 블루스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_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인간의 조건에 맞는 바람직한 사회 _나라야마 부시코
글쓰기와 자아 _소셜포비아
3장 타자의 목소리, 나의 목소리 “다름은 진실을 해체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고레에다 히로카즈 _아무도 모른다, 어느 가족
국가라는 ‘몸’ _작전명 발키리
기차 밖의 타자는 희망인가? _설국열차, 부산행, 스테이션 에이전트
우리 안의 식민성 _미스터 션샤인, 청연
모든 연대는 정의인가 _기억의 전쟁
영화에 대해 쓰는 것이 아니다
영화를 보는 나에 대한 이야기다
나 역시 내 인생의 영화가 있고, 영원히 각인되는 장면이 있다. 내 인생의 영화는 바뀌는 편이지만, 한 영화의 인상적인 장면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 책은 내가 영화를 볼 때 어느 지점에 착목하는가에 관해 말한다. 처음 영화를 볼 때 이런 관점으로 보겠다고 작정하고 보는 경우는 없다. 영화를 보고 나서야 내가 “이 영화를 이렇게 봤구나” 하고 어렴풋이 되새기고 의문을 품는다. 그리고 그 영화에 대해 쓰는 과정에서 조금 더 윤곽이 드러난다. …… 영화의 주장은 감독이나 다른 관객 혹은 평론가가 정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정한다. 각자가 정한 그 생각들이 모여 바람직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다. - ‘머리말’에서
“영화에 대해 이야기할 때
나의 경험, 위치, 동일시한 부분을 중심에 두고 이야기하면
영화보다 더한 나의 영화가 만들어질 것이다.”
‘정희진의 글쓰기’ 시리즈 4권 《영화가 내 몸을 지나간 후》는 우리 시대의 가장 독창적인 비평가 정희진이 영화와 드라마라는 텍스트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치열하게 써 내려간 18편의 글을 담고 있다. 논쟁적인 다큐멘터리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 〈기억의 전쟁〉에서부터 천만 영화 〈부산행〉 2022년 화제의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까지, 모든 영화와 드라마는 정희진을 거쳐 ‘나’에 대한 글쓰기로 재구성된다.
정희진에게 영화는 단순한 취미가 아니라 ‘삶의 중요한 영역’이자 ‘삶의 방도’다. 개인이 결코 다 알 수 없는 드넓은 현실을 비록 일부일지라도 영화가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감상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신의 자리를 분명히 할 때에만 무엇을 모르는지 가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앎의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은 영화나 드라마 자체의 내용보다 감상자의 위치와 목소리를 의도적으로 키운다. ‘누가’ ‘어디서’ ‘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문장에 살아 숨 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