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의 가장 무거운 악에 대한 ‘기억의 기록’
가장 위대한 다큐멘터리 [쇼아]를 책으로 만나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 칼리가리상, 국제비평가연맹상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플라이어티 다큐멘터리상
프랑스 세자르 영화제 명예 세자르상
국제다큐멘터리협회 IDA상
“홀로코스트는 전적으로 부적절한 이름입니다.”
홀로코스트라는 단어 앞에서는 누구나 마음이 무거워질 수밖에 없다. 유대인 게토, 아우슈비츠 수용소, 가스실 등등을 떠올리며. 그러나 [쇼아]를 접하는 순간, 시몬 드 보부아르가 고백했듯 사실은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우선 홀로코스트라는 표현에 대해 따져봐야겠다. 홀로코스트는 ‘불에 태워 신에게 바치는 희생 제물’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말이다. 란츠만 감독은 홀로코스트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나치 독일을 희생 제의를 집례하는 사제로 묘사하는 것이며, 학살당한 600만 명의 유대인을 신에게 닿기 위한 제물로 간주하는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이 용어의 사용을 거부한다. 대신 재앙이라는 뜻을 가진 ‘쇼아’라는 히브리어를 사용한다.
쇼아의 대부분은 어두운 잿빛 하늘이 아니라 푸르고 화창한 날, 폴란드의 농부들이 평화롭게 농사를 짓는 일상 공간의 바로 옆 장소에서 벌어졌다. 오랜 굶주림으로 앙상하게 마른 열세 살 소년이 발목에 쇠사슬을 찬 채로 폴란드의 아름다운 강가에서 독일군 찬양 군가를 부르고, 아이는 풀어 주면 안 되느냐는 폴란드 농부의 부인에게 SS 병사가 아이도 곧 부모를 따라 하늘나라로 갈 것이라고 서슴없이 말한다. 목격자, 생존자, 그리고 풀려나서 인터뷰할 정도로 가벼운 처벌을 받은 나치 가해자들의 증언은 그 어떤 영화보다도 그 공포를 머리와 마음과 몸으로 느끼게 만든다.
나치의 증거 인멸로 탄생한, 영화사에 길이 남을 걸작
1974년 클로드 란츠만은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유대인 학살에 관한 영화의 제작을 의뢰받는다. 그러나 란츠만은 곧 벽에 부딪혀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