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부. 가족과 국가 이후의 좋은 삶을 위한 공동체
/1장/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의 철학적 공동체 이론 비판
1. 도입
2. 아리스토텔레스의 공동체 이론과 현재적 수용에서의 문제
3. 헤겔 공동체 이론의 한계
/2장/루만의 가족 개념과 공동체 이론으로의 확장
1. 도입
2. 대안적 가족 개념을 위한 제안들이 가진 한계
3. 루만의 가족 개념: 전인격에 방향을 맞춘 무절제한 소통들로 이루어진 사회적 체계
4. 가족의 기능: 전인격적 포함
5. 루만 가족 개념의 한계와 공동체 이론으로의 확장
/3장/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에서 좋은 삶을 위한 공동체
1. 도입: 사회학의 공동체 물음
2. 사회적 체계들의 재분류 문제
3. 잠정적인 공동체 개념과 친밀공동체 재론
4. 기능적으로 분화된 사회에서의 좋은 삶과 살림공동체 재론
5. 좋은 삶을 위한 공동체가 갖는 맞-기능
2부. 가족과 국가 이후의 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4장/친밀공동체와 도시마을
1. 도입
2. 공동육아에서 시작된 새로운 도시공동체의 특징
3. 친밀공동체의 개념
4. 친밀관계의 위기와 친밀공동체의 의의
5. 친밀공동체와 사회적 공공성의 관계
/5장/도시공동체의 친밀성과 공공성
1. 도입
2. 하버마스의 공공성 이론이 가진 한계
3. 친밀성과 공공성의 관계
4. 친밀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도시공동체 정책
5. 결론
/6장/공동체주의 공동체의 한계와 현대적 조건에서 현실적인 공동체
1. 도입
2. 공동체주의 도덕 공동체 혹은 자치 공동체에 대한 비판
3. 뉴어버니즘의 한계
4. 전통적 공동체 및 공동체 사회 관념과의 작별
5. 현대적 조건에서 현실적인 공동체의 방향: 친밀공동체, 돌봄의 공동체
논문출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