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누군가에겐 하나의 사건이 모든 삶이었다
1. 잠든 사람은 깨울 수 있어도 잠든 척한 사람은 깨울 수 없다
잔혹한 동화가 만들어낸 현실의 법: 조두순 사건으로 본 감형의 조건
세상에서 가장 슬픈 악성 민원인의 절규: 대구 어린이 황산 테러와 살인 공소시효
잠든 척할 수 없는 시대: 법을 적용받지 않는 법 집행자, 검찰
2. 진실을 땅속에 묻으면 더 큰 폭발력을 축적한다
음란지옥의 불길에 타버린 사람들: 버닝썬 천태만상 속 유착의 고리
가장 뛰어난 예언자, 과거: 최순실의 국정 농단과 침묵의 카르텔
눈 덮인 들판을 함부로 걷는 권력: 십상시 문건이 고백하는 대한민국 권력 서열
3. 강물이 화나면 배를 뒤집을 수 있다
분노와 난폭의 차이: 촛불혁명의 아주 멋진 순간
신뢰와 신념의 가속도: 정유라가 탄 말을 추격하는 기수들
부정과 은폐의 무게추: 대통령 탄핵의 전말
4.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음모론의 탄생 공식: 〈세월X〉가 뚫은 물길
미래의 재난을 상상하는 힘: 재난의 올바른 수습이 필요한 이유
팩트 없는 진상의 허상: 다시 가라앉은 세월호
5. 악행 그 자체보다 악을 보고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들 때문에 세상은 파괴된다
방관의 다리는 언제나 튼튼하다: 독을 뿜어낸 가습기
움직이지 못하는 초인의 꿈: 루게릭병 환자와 나눈 편지
정서적 사다리를 제공받을 권리: 난곡의 2가지 가난
6. 악인을 비난하기는 쉽지만 이해하기는 너무 어렵다
죄의 미미한 시작과 창대한 끝: 이영학이 쓴 인간의 가면 벗기기
실험실 밖에서 과학이 지켜야 할 예의: 황우석 신화와 과학 정치화의 덫
절대악의 칼에 베인 21년: 지존파의 살인공장 혹은 지옥
7. 우리는 언제든 모비딕과 마주칠 수 있다
‘기레기’가 풀어헤친 그날의 기록: 5.18 보도와 기자의 진실
국민의 포기할 수 없는 권리: 감시 사회를 감시하는 자
정보기관의 변신은 유죄: 만들어진 간첩들
8. 두 도시는 다른 방향으로 걸어갔다
떠오르려는
“너무 늦은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무지와 무관심, 기만과 폭력으로 지체된 정의를 불러내기 위해
지옥에서 천국을 상상하는 탐사 저널리스트의 이야기
매일 접하는 뉴스 속에서 진실만을 추출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진실을 가장한 거짓이 난무하고, 실체 없는 허상이 떠도는 시대, 우리는 진실의 숨은 그림을 발견할 수 있을까. 암흑의 핵심으로 파고들어가 빛을 발견하는 일을 하는 공익 탐정이 있다. 탐사 저널리스트 이규연은 그의 일을 그렇게 정의한다. 탐사보도의 일과 그 일을 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한 기록을 담은 책 《이규연의 로스트 타임》이 출간되었다.
왜 책 제목이 ‘로스트 타임’인가. 스포츠에서 지체된 시간을 뜻하는 ‘로스트 타임’은 사법과 정치, 경제에도 출몰한다. 우리의 무지와 무관심, 기만과 폭력으로 누군가의 시간은 사라진다. 그때마다 그 누군가는 가슴을 치고, 목소리는 사라진다. 로스트 타임은 잊힌 시간이며 지체된 정의다. 하나의 사건이 모든 삶이었던 누군가에게 반드시 돌려주어야 할 시간이기도 하다. 탐사 저널리스트는 사라진 누군가의 시간, 목소리, 삶을 그에게 되돌려주는 직업이기도 하다.
취재 현장에서 늘 최선을 다해왔지만 아쉬움도 남았다. 항상 한발 늦고 뒤늦게 분노했다. 조금만 더 악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보았더라면. 그러나 더 깊이 들어갔다가는 발을 헛딛고 굴러 떨어질지도 몰랐다. 이 책은 지난 30년간 공익 탐정으로 탐사보도의 길을 개척해온 한 탐사 저널리스트의 분투기며 성장기다. 잃어버린 시간을 회복의 시간으로 만들기 위해 스포트라이트를 비추었던 36개의 생생한 기록과 분투가 감동적이고 눈물겹게 펼쳐진다. 또한 탐사의 정의, 구성, 인터뷰 방법 등을 정리한 탐사보도 취재 원칙과 요령이 12개의 ‘탐사 노트’에 일목요연하게 담겨 있다.
“악행 그 자체보다 악을 보고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들 때문에 세상은 파괴된다”
지연된 정의, 사라진 시간을 되찾기 위한 36개의 스포트라이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