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왜 나는 여자를 연구하는가
-여성에 대한 무지와 편견/-남자의 한계와 가능성/-여성의 진실을 향하여
1. 욕망과 사랑
-여자들이 좋아하는 이야기의 공통점/-신데렐라 콤플렉스/-사랑을 통하지 않고서 여성의 마음 깊숙이 도달할 수 없다/-“여자들은 사랑 안 하면 섹스 못 해요”/-여자는 사랑할 때 인간의 전체성을 판단한다/-욕망의 종합, 짐승꽃미남/-잘생긴 남자를 상대하겠다는 자신감/-여자들의 다양한 욕망
2. 공부와 지식
-학창 시절에 더 높은 학업 성취도를 거두는 비밀/-배우지 않은 엄마와 배운 딸의 갈등/-여성은 남성보다 똑똑하지 않은가?/-공부하는 여성에 대한 편견/-백치미라는 굴레/-문화 교양에 대한 갈망/-남성이 생산한 지식과 다른 여성이 낳은 지식/-여성에게 필요한 공부
3. 외모와 아름다움
-여자도 남자를 본다/-아름다워지고 싶은 유혹/-화장에 대해서/-큰 가슴에 대한 이중 잣대/-여자의 털과 미용 성형/-신데렐라가 잃어버린 유리 구두 한 짝의 크기/-짧은 치마의 즐거움/-정말 아름다운 존재
4. 건강과 신체
-왜 여성은 자주 아픈가?/-눈물이라는 치료제/-몸을 쓰지 않으면/-몸을 믿고 자신을 방어할 줄 아는 여성/-왜 우리는 살을 혐오하는 것일까?/-정상화의 척도가 된 몸/-그 순간만 뚱보가 아닌 뚱보 여성/-늙은 여자가 된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5. 달거리와 임신
-초경을 축하하다/-여자도 모르는 배란/-달거리통과 월경전증후군에 대해서/-수생 유인원의 질/-태아 시절의 결핍은 세대를 넘어 대물림된다/-10대 임신에 대해서/-모체와 태아의 갈등/-완경은 자연이 여성에게 선사한 축복이 될 수 있다
6. 출산과 육아
-자신의 몸에 대한 믿음/-자연 분만에 대해서/-임신 중절에 대해서/-산후 우울증과 딸을 낳는 일/-모유 수유와 애착/-모성이란 무엇인가/-그래서 어미는 고독하고 아프다/-엄마의 희생을 희생시켜라
7. 결혼과 관계
-더 나은 환경에서 살고 싶은 앙혼/-결혼 시장에서 요구되는 성역할/
여성과 남성의 오랜 갈등, 과연 해소의 가능성은 없는가
대항對項으로서의 여자는 남자에게 사실상 영원히 해독해야 할 텍스트다.(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사실로서도 그렇고 비유로서도 온당하다. 인간의 역사에서 양성평등이 온전하게 구현되지 않았던 이유 중에는 이처럼 상대편에 놓인 젠더를 진지한 텍스트로 받아들이는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특히 남자 쪽에서 여자를 섬세하게 해독해왔는지를 반성적으로 돌아보자는 것이 이 책을 통해 저자가 드러내고 있는 인식의 출발점이다. 저자는 서문격인 「나는 왜 여자를 연구하는가」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저는 두루두루 여러 학문의 통찰과 연구 내용을 살피면서 여성을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여성을 알아야만 인간을 온전히 파악할 수 있을 테니까요. 저에게 인간은 늘 수수께끼였습니다. 사실 인간 자체는 없지요. 여성과 남성이 있을 뿐입니다. 저는 인간을 알고자 공부했는데, 세상이 말하는 ‘인간(human’은 알고 보면 ‘남성(man’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남자들은 자신들이 말하는 인간에 대한 설명이 진실이라 믿어 의심치 않지만, 남자들이 정의 내리는 인간을 여성의 관점으로 들여다보면 반쪽짜리 진실일 뿐이지요. 관점의 이동을 할 수 있을 때 인간은 지성으로 성장합니다. 여성을 알면 알수록 기존의 ‘인간’ 개념이 해체되면서 확장되더군요. 남성의 관점과 여성의 관점을 교차시키면서 인간을 깊이 인식하고자 합니다.”
여자를 고민하고 공부한 남자,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하다.
여성에 대한 저자의 공부는 개인적인 이유에서 시작한다. 저자 이인은 자기 스스로를 지극히 평범한 남자로 규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평범한’이라는 수사는 여자에 대해 편견과 오해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은 한국 남자의 보편성을 표상하는 말일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여자와 소통이 잘 되지 않는 것이 점차 고통스럽게 느껴졌다. 바로 그것이 여자를 공부하기로 결심한 계기 되었다. 이 책은 한 남자가 자신의 삶에서 불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