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제Ⅰ편 고대의 농경문화와 고조선의 성립 발전 …… 15
서론 -고조선의 국가와 문명을 찾아서 _17
제1장 농경문화의 시작과 동아시아 북방민족 _19
1. 농경문화의 시작 _19
2. 동아시아 북방민족의 요하문명의 농경문화 _20
3. 농업생산의 주체 -농업공동체에서 농촌공동체로 _30
제2장 고조선 단군정권의 수립과 농업생산의 기획화 _33
1. 부족사회들의 농업생산 증진과 사회변동 _33
2. 고조선 단군정권의 수립과 농업정책 _37
1 부족집단들의 고조선 단군정권 수립 _37
2 단군정권의 국가운영 정치운영 체계 _39
3 疆域 -단군정권을 구성하는 부족집단들 _41
4 농업정책 농업기획의 두 방향 _43
5 농촌 邑落사회의 조정 _47
제3장 농업생산의 발전과 사회정치적 갈등구조 _49
1. 부족사회 부족국가의 농업발전 _49
2. 농업생산 발전정책의 문제점 _50
3. 갈등구조의 조성과 대책의 요청 _52
1 지배층 내부의 갈등구조 _52
2 읍락사회 내부의 갈등구조 _55
3 갈등구조의 심화와 대책의 요청 _55
제4장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과 고대적 농업 사회체제 _57
1. 부족국가들의 농업문제 수습책 -정변 _57
2.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 _58
1 정치개혁 -칸들의 합의제 귀족정치로 _61
2 사회개혁 -사회신분제의 고대적 확립 _62
3 경제개혁 농업개혁 -개발 발전 위주로 _67
3. 고조선 기자정권의 농업생산 증진책 _68
1 농경기술의 개량 발전 -牛犁耕 _68
2 민의 저항에 대한 대비책 -8조의 금법 _69
3 농업생산의 독려와 회유, 그 결과 _70
4. 읍락사회의 고대적 호민지배적 재편성 _71
〈보론 1〉 長川1號墳 _74
〈보론 2〉 《제왕운기》 _78
〈보론 3〉 孤竹國 _80
제Ⅱ편 고조선 기자정권의 쇠망과 그 유민들의 국가재건운동 …83
제1장 부여와 고구려의 국가재건 _
진행형으로 이어지는 옛 역사의 실타래
저자의 진행형 문체는 드넓은 공간을 무대로 다양한 집단들의 각축을 역동적으로 서술하는 데 퍽 적합하다. 그는 홍산문화의 주체로 청구국靑丘國이 황제의 중화문명과 충돌한 이후 요동의 예족濊族 계통인 서자족庶子族 진국辰國 집단의 주도로 요서에 있던 맥족?族 계열의 환웅족 집단이 동으로 이동하여 초기 국가 고조선 단군정권을 수립해 나갔다고 본다. 한중 사서 속 고대의 흔적을 입체화해 나가는 저자의 시도는 단군의 사실성조차 인정하지 않는 인식과 그를 토대로 한 고고학 접근의 맹점을(서의식, 《요하문명과 고조선》, 2015 돌파할 출구가 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세 차례에 걸친 요하?홍산 현지 탐사의 경험까지 더해져 그 작업의 설득력을 더욱 높인다. 단군정권 후반기 서자족 진국 집단의 세력 강화는 해주 석목성과 개주 석붕산의 거대한 고인돌이 웅변해 준다는 대목은 그 한 예이다.
체제 변동의 원리와 지속
단군정권 후반기 사회정치적 모순은 성장과 분배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곧 전통으로 내려온 농업공동화 이념을 내세우는 농촌공동체 성원의 요구와 개별적 농업 개발 발전을 추구하려는 선진지역 부족국가 사이의 갈등이다. 저자는 환웅족 단군정권과 서자족 진국집단의 두 대립구도는 고대-중세사에 걸친 것이라고 했지만, 오늘날 복지와 경제 성장의 우선순위를 두고 벌이는 논쟁과도 닮아 있다. 저자는 이러한 모순구조가 정변을 통한 고조선 기자정권의 등장으로 타개되었다고 본다. 농업 생산의 발전-농업 모순의 발생-개혁-신체제의 성립은 저자가 조선 후기 농업사의 구도를 구상할 때 체제 변동 과정의 내적 원리로서 주목한 궁즉변窮則變-변즉통變則通-통즉구通則久(주역周易의 동양적 변증법(《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이다. 《농업으로 보는 한국통사》(2017에서도 이 원리가 서술의 내적 틀을 이룬 바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변동 속에서 재건의 문제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고구려가 맥족 계통의 농정이념에 따라서 자경소농제를 중심으로 한 지주전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