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부 일상이 무너진 순간
1 손녀의 드레스를 구하다
우크라이나·폴란드/ 다리야 마르첸코
조부모의 안위를 걱정하는 마리우폴 출신 애널리스트
2 프로세코의 굴욕
영국/ 아만다 그리토렉스
난민에게 집을 내준 싱어송라이터
3 햄퍼 바스켓의 위로
우크라이나/ 나탈리아 쉐레메타
작은 가방 하나만 들고 영국으로 피난한 직장인
4 우리에게 형제가 둘뿐인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우크라이나/ 리디아 비노그라드나
난민이 된 전 리듬체조 국가대표
5 낯선 곳을 향한 백 일간의 여정
우크라이나/ 루드밀라 홀로디
자포리자에서 온 변호사 지망 난민
6 방아쇠에 감상은 없다
우크라이나/ 올레나 빌로제르스카
전장에서 저격수로 활동하는 전직 기자
[칼럼 1]여성은 약할 수도, 포기할 수도 없다?
2부 보통 사람들의 전쟁
1 어디서도 우리를 반기지 않는다
벨라루스/ 소피아 마로자바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반전 시위자
2 메달을 가지고 돌아갈 곳이 없다
라트비아/ 자네 스쿠지나
패럴림픽에 참가한 라트비아 올림픽 위원회 장애인분과 직원
3 그들과 함께 자리하고 싶지 않다
카자흐스탄/ 알리야 쿠르만바예바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인을 친구로 둔 글로벌 기업 직원
4 승리할 수 있는 전쟁은 없다
몰타/ 스테파니 밋지
〈우크라이나를 위한 예술가들〉 전시를 기획한 아마추어 화가
5 뿌리가 없어야 국경을 넘을 수 있다
라트비아·에스토니아/ 디아나 타마네
‘꽃 밀수꾼’ 할머니의 이야기를 작품으로 재창조한 예술가
6 침묵할 자유가 없다
러시아·영국/ 안나 오브샤니코바
반전 시위를 하고 있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 바이올리니스트
[칼럼 2]‘이것은 전쟁이 아니다’라는 생각
3부 야만의 세계를 넘어서
1 푸틴이 말한 그런 약속은 없었다
미국/ 메리 엘리스 사로티
화제작 《Not One Inch》를 쓴 존스 홉킨스 대학 교수
2 문제는 매력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 우리는 아직
보통 사람들이 치르고 있는 전쟁을
완전히 알지 못한다
우크라이나의 자포리자는 바로 돈바스 옆에 위치해 있다. 자포리자 출신 난민 여성 밀라는 러시아군이 고작 20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진격해왔을 때, 근무 중 휴식 시간에 커피를 마시는 일조차 매우 싫어졌다고 털어놓았다. 내일을 알 수 없다는 초조함과 커피의 평온함이 가져오는 극명한 대조를 견딜 수 없었던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이폰을 쓰고 영화관에 가거나 카페에서 한가롭게 커피를 즐기던 이들이 순식간에 삶의 터전을 잃고 급히 떠나야만 했다. 난민 생활은 상대적으로 가난하고, 다른 종교와 기후를 갖고 있고, 정세가 불안정한 나라에 사는 극도로 불운한 사람에게만 닥치는 것이 아니었다.
이 인터뷰집은 인간 삶을 밑바닥으로 끌어내리는 전쟁의 비참함을 직시할뿐더러, 혼란하고 비극적인 역사 속에서 서로 점점이 떨어져 있지만,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돕고 있는 평범한 위인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또한 그들의 매우 사적인 이야기와 감정까지 함께 기록해서, 전쟁 이후 전 세계 개개인에게 도래한 변화는 무엇인지, 혹은 변하지 않은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일지 짐작해볼 수 있다.
동시에 심리적인 거리에 관한 주목할 만한 경험담들도 다루고 있다. 세계 시민들은 전쟁에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을까? 난민의 처지에 공감하여 물심양면으로 돕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난민에게 호의를 베푸는 것을 매몰차게 거절하는 사람도 있다. 감정적으로 견디지 못해 전쟁을 외면하거나 거리를 두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트위터 등에서 전쟁에 쓰인 무기와 전략에 대해 열을 내며 토론하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간 군상을 통해 우리 시대가 최고로 여기는 가치란 무엇인지, 양심과 인간성을 지키는 일이란 어떤 것인지를 정확히 짚어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왜 우크라이나의 주변국들은 ‘다음은 우리다’라는 걱정과 불안을 안고 있을 수밖에 없을까? 강대국 러시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