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서문 - 도올 김용옥
《예원지》 해제
《예원지》 서문
예원지 권제1
총서 總敍
1. 파종과 옮겨심기 種栽
1 파종하는 법 子種法
2 꺾꽂이법
3 옮겨 심는 법 移栽法
4 포기 나눠 옮겨 심는 법 隔根分栽法
2. 접붙이기 接換
1 접붙이기 총론 接樹總訣
2 2가지 꽃나무 접붙이는 법 接花兩般色法
3. 물주기와 거름주기
1 거름 주는 법 壅培法
2 물 주는 법
4. 관리하기 葺理
1 굽은 나무 손질법 治曲樹法
2 나무를 기이하게 성숙하도록 하는 법 治樹令老奇法
3 화분에 심는 법 登盆法
4 화분 두는 법 安盆法
5 병풍처럼 엮는 법
5. 보호하기 護養
1 꽃 기르는 법 養花法
2 서리 막는 법 拒霜法
3 벌레 물리치는 법 ?蟲法
4 주의사항 宜忌
6. 배치 鋪置
1 이름난 정원의 고아한 화훼 배치(명원아칭 名園雅稱
2 화분 배치법 排盆法
7. 품등 品第
1 화훼 8종의 상품 八種上品
2 정자 주변에 심는 꽃에 대한 논평 花?詮評
3 화훼의 3가지 품등 草花三品
4 꽃의 9가지 품명(品命 花九命
5 꽃병의 꽃 9가지 품명 甁花九命
6 꽃 친구 10가지 花十友
7 꽃 손님 12가지 花十二客
8 꽃 손님 30가지 花三十客
8. 절기에 행하는 일(시령 時令
1 심고 접붙이는 절기 種接時候
2 사계절 기후에 달리 접붙이는 법 四時變接法
3 꽃나무 재배의 월령(月令 花月令
9. 자질구레한 말
1 꽃을 빨리 피게 하는 법(최화법 催花法
2 꽃의 색 바꾸는 법(환화법 幻花法
10. 보관하기 收藏
1 움에 보관하는 법
2 옷 입히는 법
.
.
(생략
《임원경제지》 3번 째 지(志 《예원지》, 화훼농사 백과사전
책의 제목인 예원은 ‘원에서 가꾼다[藝]’는 뜻으로, ‘넓은 밭에서 화초를 기른다.’는 의미이다. 이때의 화초는 곡식농사 백과사전 《본리지(本利志》와 채소?약초농사 백과사전 《관휴지(灌畦志》에서 다루지 않은 관상용 꽃과 풀이 대부분이다. 즉 〈예원지〉는 먹지는 못하고 감상만 하는 식물의 백과사전인 것이다. 《예원지》는 5권 2책, 총 67,436자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총서>이고, 권2는 <꽃류(상(꽃나무>, 권3은 <꽃류(하(풀꽃>, 권4는 <훼류(관엽류>, 권5는 <꽃 이름 고찰>이다.
〈예원지〉 1권은 권1부터 권3까지의 내용을 묶었다. 권1에서는 〈총서〉에서는 파종법과 옮겨 심는 법, 접붙이는 법, 물 주고 북 주는 법, 꽃나무를 손질하거나 특정 모양으로 만드는 법, 보호하는 법, 화훼나 화분의 배치법, 화훼류에 대한 다양한 품평, 절기 맞추기, 개화 시기를 앞당기는 법, 꽃색 바꾸는 법, 보관하는 법 등을 다룬다. 채소와 약초 농사를 소개한 《관휴지》, 나무나 넝쿨열매를 다루는 《만학지(晩學志》와 ‘총론’에서 서로 겹칠 법하지만 그렇지 않다. 화훼류에만 적용되는 노하우들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여기서 살필 수 있다.
권2와 권3에서는 50종의 꽃류를 다루고 있으며, 모란·해당화·매화·자미화·무궁화 등 나무에 꽃이 피는 목본류 총 22종이 권2에서, 난초꽃·국화·작약·수선화·양귀비·패랭이꽃 등 풀에 꽃이 피는 초본류 총 28종이 권3에서 소개된다. 예를 들어, “해당화” 조에서는 서유구 자신이 장단에 거처할 때 해당화를 관찰했던 일화를 적기도 했다. “무궁화[木槿]” 조에서는 이 꽃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