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중동전쟁의 역사적 배경
제1장 유대의 역사와 시오니즘(Zionism 운동
제2장 비극의 씨앗, 기만적 3중 약속
제3장 영국의 위임통치하 두 민족의 대립
제4장 이스라엘 건국, 전쟁의 서막을 올리다
제2부 팔레스타인 전쟁 (제1차 중동전쟁
제1장 지하투쟁기(1947년 11월 29일~1948년 5월 14일
제2장 아랍군의 초기 진공(1948년 5월 14일~6월 11일
제3장 제1차 휴전(1948년 6월 11일~7월 9일
제4장 이스라엘군의 제1차 공세(1948년 7월 9일~18일
제5장 제2차 휴전(1948년 7월 18일~10월 15일
제6장 이스라엘군의 제2차 공세(1948년 10월 15일~29일
제7장 종말공세와 정전(1948년 10월 29일~1949년 2월 24일
제8장 전쟁의 유산
제3부 수에즈 전쟁(제2차 중동전쟁
제1장 전쟁 발발의 배경과 원인
제2장 개전 전 양군의 상황
제3장 전단을 여는 이스라엘군(제1단계 작전
제4장 서전의 고전과 극복(제2단계 작전
제5장 영·프군의 참전과 시나이 작전(제3단계 작전
제6장 전쟁의 결과
제4부 6일 전쟁(제3차 중동전쟁
제1장 전쟁발발의 배경과 원인
제2장 이스라엘의 개전 결의 과정
제3장 선제기습, 건곤일척의 항공작전
제4장 시나이 작전
제5장 요르단 작전
제6장 시리아 작전
제7장 전쟁결과 분석 및 군사적 영향
제5부 소모전쟁
제1장 개요
제2장 운하지대의 분쟁과 군의 재편성
제3장 이집트 주도에 의한 소모전쟁
제4장 이스라엘군의 반격 및 소련 공군과의 직접 대결
제5장 정전하 군비강화와 이스라엘의 억지전략
제6장 소련인 추방 후 본격적인 전쟁 준비
제6부 10월 중동전쟁(제4차 중동전쟁
제1장 배경 및 개전 경위
제2장 골란 전역(戰役
제3장 시나이(수에즈 전역(戰役
제4장 기타 작전
제5장 전쟁 결과
제7부 1975년 이후 분쟁 및 충돌
제1장 레바논 분쟁
제2장 팔레스타인 민중봉기(In
중동전쟁은 본질적으로 아랍과 이스라엘 간의 무력충돌이지만 중동지역의 패권을 둘러싼 초강대국의 대결이 겹쳐져 있는 이중성(二重星이 특질이다. 바로 그 이중성이 중동전쟁을 복잡하게 만들고, 전쟁의 전 국면을 지배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후 영향까지도 규제한다. 따라서 중동전쟁은 국제정치와 군사의 두 가지 관점에서 바라봐야 전체모습을 조망할 수 있다. 그래서 본서(本書는 두 가지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 개요를 정리하였다.
첫째, 중동의 주도권을 둘러싼 강대국의 대립 속에서 아랍과 이스라엘의 국가지도자는 4차에 걸친 전쟁을 어떻게 지도했으며, 그 전쟁을 통해 얻은 교훈은 무엇인가?
둘째, 아랍과 이스라엘의 군사지도자는 국내외의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 어떻게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그것을 지도했으며, 그 작전을 통하여 무엇을 배우고 그것을 건군 및 군사력 건설에 어떻게 반영했는가?
셋째, 4차에 걸친 전쟁을 통해서 초강대국의 영향력은 어떻게 변해 왔는가? 그것에 수반하여 전쟁의 목적과 성격, 전쟁지도는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더 나아가 아랍과 이스라엘은 초강대국의 중동정책과 전략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대응했는가?
넷째, 4차에 걸친 전쟁이 끝난 다음 1975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분쟁과 충돌, 즉 레바논 분쟁, 팔레스타인 민중봉기(Intifada, 가자 전쟁의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또 아랍(팔레스타인 포함과 이스라엘은 세계 여론이라는 변수 속에서 어떤 수단과 방법으로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고 했는가?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지정학적 요인과 안보환경이 이스라엘의 상황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반도에서 급변사태나 전쟁이 발생할 경우, 이미 중동전쟁에서 드러난 것처럼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강대국들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할 것이며, 이는 이스라엘군이 완벽하게 승리하는 것을 강대국이 방해했듯이 우리의 자주적 행동도 제약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안보환경 때문에 우리에게는 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