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에 앞서
1장 사람과 바이러스의 연결
1 동기화한 세계
의식적으로 행동을 통일시킨 세계
사상 처음으로 중국이 전 세계 사람의 행동을 통합했다
바이러스의 표상에 반응하고 있다
2 2019년 이전의 질서는 끝났다
새로운 질서에 맞춘 나의 행동
이전 세계의 질서는 자취를 감추었다
록다운과 《리바이어던》
3 포스트 팬데믹의 자본주의
위기는 윤리적 진보를 불러온다
바이러스에서 얻는 교훈
윤리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완전히 같다
팬데믹에 대한 야멸찬 결단을 내린 스페인
상호존중에 기반을 둔 비즈니스 모델
추축시대 이후 가장 획기적인 의식혁명
신자유주의의 종언
4 포스트모더니즘의 극복
오히려 미국인은 다양성에 약하다
‘신실재론’과 포스트모더니즘
글로벌한 ‘우애의 정치’
5 통계적 세계관이 초래한 환상
독일의 코로나 대책은 옳았을까?
독일의 ‘AHA’ 전략
통계적 세계관 가운데 최악의 버전
통계상 중요시해야 할 데이터란?
통계는 행동경제학의 ‘넛지’를 행하기 위한 도구
코로나 위기는 통계적 세계관에 의한 환상
통계적 비즈니스에서 질적 비즈니스로
정치가가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6 코로나 후의 비전
모든 인간이 선주민처럼 사는 사회
윤리적 행동을 이끌어내는 사회
지속 가능한 자본주의
칼럼│현시대를 응시하는 철학자의 시선 ①
홉스 ― ‘자연상태’는 존재하는가
2장 국가와 국가의 연결
1 트럼프의 패배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 대책은 실패였을까?
트럼프의 패인
무서운 것은 트럼프 이후의 등장인물
2 왜 사람들은 음모론을 믿는가
미국과 독일에서 쏟아진 음모론
음모론의 온상, 넷플릭스
‘팬데믹의 원흉은 트럼프’는 가짜 뉴스
주류 언론의 기사 대부분은 정치화되어 있다
언론의 구조가 만들어낸 음모론
유튜브 구독자 수는 의미 없다
3 고정관념과 정체성 정치
팬데믹에 등
‘윤리적 공동체’야말로
이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
마르쿠스는 팬데믹을 겪으며 수치나 통계를 보는 것에 익숙해지는 통계적 세계관이 가진 오류를 밝혀내고, 통계보다 양질의 결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통계적 세계관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 가령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의 수에 몰두한 나머지,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가?’, ‘해결하기 위해서 집단 면역을 갖출 필요가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외적으로 비춰지는 수치가 아니라 그 이면에 상황을 볼 수 있는 통찰력을 갖춰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취한 결과로 돈이 모이는 경제 체제’를 만든다는 지점은 무척 새롭다. 윤리자본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저자는 자신이 관여한 프로젝트와 중국 민주화의 역설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기농 식재료 사용, 사회계발 세미나를 제공하는 등 윤리적이기에 성공한 미헬베르거 호텔 사례를 통해 공동체주의가 신자유주의를 대신하는 시대가 왔음을 알리기도 한다. 개인 간의 커뮤니티 형성, ‘연대’를 이루는 행위는 분명 무너진 기존의 질서를 세울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작용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
세상과 긴밀하게 이어졌다
커뮤니티를 이루는 주체인 ‘개인’을 마르쿠스 자신만의 언어로 다루기도 한다. 무수히 많은 타인과 이어지는 소셜 미디어가 가진 문제점을 언급하고 있다. 가령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정체성을 강매해 돈을 번다든지, 본인이 바라지 않는 자신을 강요한다든지 등의 문제다. 이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불교와 소크라테스 철학을 예로 들며 ‘자신을 정의할 수 있는 본질이 있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본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걸까?’하는 의문이 든다. 이에 마르쿠스는 ‘인간의 본질은 답이 아니라 질문’이라 말하는 신실존주의 사상을 통해 인류의 사고를 정의내린다. 또 ‘인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