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보로 보는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 ‥4
일러두기 ‥14
발간사 ‥24
머리말 ‥27
1부.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시대 구분
1장. 조선 전반기(1392-1608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보령 금강암 석조미륵보살상
3.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4. 견성암 약사삼존상
5.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불상
6.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상
7. 경주 왕룡사원 아미타불상
8. 합천 해인사 법보전과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상 중수
9.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불상군
10. 남양주 수종사 불상군
11. 맺음말
2장. 조선 후반기 제1기(1609-1724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서울 지장암 비로자나불상,
칠보사 석가불상, 선찰사 석가불상
3. 남양주 수종사 불상군
4.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
5.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6. 오대산 상원사 목조제석천상 중수
7. 서울 봉은사 석가여래삼불좌상
8. 순천 송광사 관음보살상과 석가불상
9. 구례 화엄사 각황전 불상
10. 서울 봉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11.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불상
12. 맺음말
3장. 조선 후반기 제2기(1725-1910 왕실 발원 불상
1. 머리말
2. 대구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상 중수
3. 남양주 불암사 목조석가불상 중수
4. 서울 사자암 목조아미타불상 중수
5. 서울 봉은사 목조사천왕상
6.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신불상 중수
7.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불상
8. 서울 옥수동 미타사 관음보살상
9. 화성 용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상
10. 서울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중수
11. 서울 흥천사 약사불상
12. 맺음말
2부.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복장 유물과 조성·중수발원문의 분석
1장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의
복장 유물과 중수발원문의 분석
1. 머리말
2. 보
이 책의 1부는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에 대한 총론이다. 조선시대를 조선 전반기(1392-1608, 조선 후반기 제1기(1609-1724, 조선 후반기 제2기( 1725-1910의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의 전반적인 흐름을 개관한다.
이 책의 2부는 저자가 직접 참가한 왕실 발원 불상 복장 조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2부의 각 장은 강릉 보현사 목조문수보살좌상,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상, 봉원사 명부전 존상,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 오대산 상원사 영산전 존상, 흥천사 노전 석조약사여래좌상, 그리고 화계사 불교미술을 차례로 살펴보면서 조선 왕실과 불교의 관계를 흥미롭게 규명한다.
이 책은 왕실 발원 불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하여 필자의 전작인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연구』를 확장시킨 것이다. 사람들의 삶과 밀접하게 소통한 조선 불교의 모습이 이 책의 풍부한 자료와 다채로운 사진을 통해 경이롭게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