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속으로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개를 넘어가는 이야기
1. 천자문 고개 글자로 들여다본 어린 시절
첫째 꼬부랑길 한자를 쓰면서 네 눈 달린 창힐과 만나다
둘째 꼬부랑길 폭력으로도 지울 수 없었던 한자의 문화유전자
셋째 꼬부랑길 양과 조개가 만난 한자의 나라
넷째 꼬부랑길 천자문과 천지현황, 표(票퓰리즘과 대략난감
2. 학교 고개 열린 교실 문 너머엔 무엇이 기다릴까
첫째 꼬부랑길 학교와 유리창, 그리고 란도셀의 추억
둘째 꼬부랑길 학교란 말도 모르고 학교를 다닌 우리들
셋째 꼬부랑길 그들은 왜 ‘국민학교’라고 했는가
넷째 꼬부랑길 서당에는 민들레가 학교에는 벚꽃이
다섯째 꼬부랑길 학교 교육과 서당 교육의 차이
여섯째 꼬부랑길 ‘오, 선장님! 나의 선장님!’과 ‘줄탁동시’
3. 한국말 고개 금지당할 수 없는 언어에 대한 충동
첫째 꼬부랑길 ‘아이구머니’는 한국말인가, 고쿠고조요
둘째 꼬부랑길 한국어를 쓰지 못하던 교실 풍경
셋째 꼬부랑길 식민지 교육이 간과한 것
4. 히노마루 고개 해와 땅을 핏빛으로 물들이는 붉은 기
첫째 꼬부랑길 깃발 속으로 들어온 해는 암흑이었다
둘째 꼬부랑길 국기를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까닭
5. 국토 고개 상자 바깥을 향한 탈주
첫째 꼬부랑길 외쳐라 토끼야, 토끼야 달려라
둘째 꼬부랑길 서양문명 상자 속의 집단기억을 넘어
셋째 꼬부랑길 바다를 발견한 한국인은 무섭다
6. 식민지 고개 멜로디에 맞춰 행진하는 아이들
첫째 꼬부랑길 약장수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둘째 꼬부랑길 동요가 아니다, 군가를 불러라
셋째 꼬부랑길 매화는 어느 골짜기에 피었는가
넷째 꼬부랑길 소나무 뿌리를 캐내라
다섯째 꼬부랑길 짚신과 고무신을 죽인 것은 군화다
7. 놀이 고개 망각되지 않는 유년의 놀이 체험
첫째 꼬부랑길 〈오징어 게임〉에 숨어 있는 인류의 미래
둘째 꼬부랑길 팽이치기 추억과 겨울
일본어를 못해 늘 혼나던 친구가 그날도 벌을 서고
풍금 멜로디는 경쾌해도 조선어 노랫말은 애달팠다
소년 이어령의 영혼에 조각된, 경계의 엇갈리는 풍경들
책은 식민지 교실에서 아이들을 지배하려고 노력하던 각각의 국가주의적 상징체계들을 면밀히 살펴본다. 붉은색 일장기나 ‘황국신민의 서사’, 대동아공영권 등의 노골적인 슬로건은 물론, 홍백전의 붉고 하얀 색깔이나 교과서의 ‘꽃’ 같은 언뜻 말랑말랑한 소품들도 모두 국가주의적 동원에 이용되는 재료다. 여기서 저자 이어령이 주목했던 일제의 선전 수단이 노래다. “책은 읽다가 멈춰서 자기를 되돌아보고, 쓰인 텍스트를 되새김질할 수 있다. 하지만 음악은 즉시 귀로 흘러들어와 마음을 자극한다.” 죽음을 집요하게 찬미하는 일본 군가들을 그렇게 아이들을 전 방향에서 에워싼다.
이렇게 식민지 시절 겪었던 체험담과 일제 군국주의 분석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지만, 이 책은 단지 일본에 대한 원망으로만 끝나지는 않는다. 한·중·일이 공유하던 동아시아의 전통적 질서를, 이를테면 한자 문화나 그것과 결부된 중세적 가치체계들을 파괴하며 벌이는 일본 군국주의의 악업은 한국인들에게만 미쳤던 것은 아니다. 중국인들은 물론, 일본인 또한 그 피해자이기도 하다. 그것은 한편으로 ‘보자기’가 아닌 ‘상자’처럼 자리를 구획하여 사물과 사태를 나누는 서구적 사고의 귀결이다. 다시 말해 일본에 서구를 이식했던 ‘탈아입구’, 즉 일본의 근대화에서 일제 군국주의의 문제성이 이미 파생되고 있었다는 문제의식이 책에는 깃들어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제국주의 비판서인 동시에 근대 비평서이기도 하다.
· 군국주의가 개인의 삶에 남긴 상처를 당대의 체험으로 기록하다
· 바다 건너온 근대의 문물, 그 이면의 무자비한 속성을 짚어내다
· 식민지 아이들을 지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