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5
제1부 마을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입주자대표회의 회장은 벼슬이 아니다12
아파트 특성에 부합하는 도시농업 시작할 때다15
텃밭과 논이 있는 아파트를 만들어 보자 : 첫마을 7단지의 실험18
아파트의 작은 축제 이야기21
공동주택 중심의 마을공동체 만들기24
세종시만의 아파트 공동체 문화 만들어야27
공동주택 전담지원부서 설치가 필요하다31
아파트단지를 네트워킹하고 연대하자35
세종시 아파트의 미래를 생각한다41
시의원 당선자, 동네공약에 관심 가져라45
남양주시의 학습등대 이야기 : 마을과 아파트의 평생교육49
작은도서관 운동 활성화해야53
한 아이 키우는 데 온 마을이 필요 : 마을이 학교다56
세종시, 평생학습도시를 꿈꾸다59
평생학습도시 세종시를 기대한다62
세종학에서 세종시만의 정체성을 찾다65
제2부 더 좋은 세종시 이야기
세종시민으로 살아가는 네 가지 방법70
로컬푸드가 일상화된 세종시를 꿈꾼다73
세종형 로컬푸드 식당 인증제를 도입하자77
협동조합, 숫자보다는 내실 있는 운영이 중요해81
세종시 불법광고물, 시민과 함께 해결해야85
대형마트와 지역사회가 공생하는 법88
세종시민을 우습게 보는 대형마트 계산대92
돌아서 가다 보면 세상이 보인다95
세종시 도농교류를 위한 다섯 가지 제언98
기부와 자원봉사가 충만한 한 해로 시작하자102
시민성이 충만한 세종시 만들기106
전기차 중심의 세종시를 기대한다 109
사회자본이 충만한 세종시가 되었으면112
세종시, 건축박물관이 될 수 있을까?115
자연을 닮은 세종 호수공원에 러버덕(Rubber Duck을119
시민 중심의 문화예술도시 세종을 꿈꾸며122
문화가 밥 먹여 주나? 그렇다!126
문화시설 불모지 세종시, 작은 공연장 어떨까?130
같은 듯 다른 세종문화재단, 세종문화원의 상생은 134
세종대왕 도시네트워크를 구축하자137
거주가 아닌 창조공간 되어야141
세종시의원 출마자, 정책토론회 열자1
이 책은 『세종의 소리』에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기고한 58편의 글을 정리하여 펴낸 책이다. 필자기 이야기하고자 했던 내용을 ‘마을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더 좋은 세종시 이야기’,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로 글 내용의 성격을 나누어서 정리해 보았다.
제1부는 마을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이야기다. 세종시는 충청남도 연기군 전역과 공주시, 충청북도 청원군 일부를 행정구역으로 하여 만들어졌고, 전국 각지의 인구가 유입되어 도시 정체성과 주민 공동체성 형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대부분의 세종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공동주택(아파트 등에서의 주민통합 활동에서 시작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아파트입주자대표회장의 역할, 텃밭과 논이 있는 아파트 만들기, 작은 축제, 공동주택 전담지원부서 만들기, 개별 아파트단지를 넘어서는 아파트단지 간 네트워크 구축 등을 통해 아파트 공동체 문화 만들기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세종시농업기술센터의 도움으로 아파트단지 내 도시농업의 실천과 세종시 아파트단지 간 정보교환과 협력, 입주민들의 권익 향상을 위한 ‘세종시아파트입주자대표연합회’ 결성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또한, 작은도서관 운동, 세종학 도입, 아파트 평생교육 활성화, 평생학습도시와 관련한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의 필요성도 강조하였다.
제2부는 더 좋은 세종시를 만들어 가기 위한 이야기이다. 2012년 출범한 세종시는 완성된 도시가 아니라,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건설 중인 도시이다. 그러다 보니 기존 도시에 비해 물리적 인프라뿐 아니라, 시민성 및 주민 참여 등 소프트 인프라도 완성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 세종시민들의 안전한 먹거리로서의 로컬푸드, 사회적경제조직의 육성, 대형마트의 역할, 도시와 농촌지역의 교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기부와 자원봉사, 사회자본과 주민 참여 활성화, 시민 중심의 문화와 예술, 안전도시 만들기, 세종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