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미래학교 공간의 의미찾기
I. 왜 공간인가?
II. 서구학교 공간 변화의 움직임
19~20세기 전환기, 개혁교육운동기의 상황 | 1970년대 이후의 상황
III. 공간체험 : 공간과의 내적 교류 혹은 공간에 대한 정서적 느낌의 문제
IV.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한 공간 문제
V. 가상 공간과 자연 공간
가상공간 | 자연공간
VI. 공간의 상상력을 더하기 위해
* 부록 한국서원이 주는 학교 공간에 대한 영감
* 부록 한옥학교 건축 실천사례_정수초 한옥도서관-인터뷰를 통해서 보기
제2장 미래학교 상상하기
I.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학교의 변화
OECD 미래학교 6단계 시나리오 | 스마트한 미래학교를 상상하다
II. 왜 학교 공간은 변화해야 하는가?
III. 미래학교는 공동체의 행복을 위해 스스로 질문한다
모두가 반기는 공간 | 사용자 참여=민주주의의 시작
IV. 우리는 새로운 환경에서 배울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배움 환경을 재구조화하자 | 혁신적 운영 모델을 위해서 새로운 학습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교육과정과 연계한 공간재구조화, 미래학교로 모두 함께 가보자!!
V. 미래학교와 주체별 역할
유기적인 관계와 미래지향적인 시대의 요구 | 미래학교의 중요한 가치 찾기
VI. 미래학교를 준비하고 있다면
미래학교에 가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꿈꾸어야 하는가 | ‘왜 학교 공간이 바뀌어야 하는가’에 대해 알기 | 과정을 즐길 줄 아는 여유 찾기 | 3년간의 장기간 프로젝트 학습과정 | 미래학교를 기획한다는 것은? | 학생의 성장을 짓는 미래학교
제3장 학습자를 위한 공간재구조화
I. 학교 공간이 지녀야 할 본질
인간은 잠재적 공간이 필요하다 | 인간을 신뢰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 인간의 창의성은 다양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 인간은 친환경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II. 학교 공간 재구조화의 정의와 방향 설정
학교 공간 재구조화의 재정의 | 학교
책 속으로
일종의 ‘학교 안의 (작은 학교’를 만들기로 하였다. 핵심은 큰 구조 안에서 다시금 작은 구조를 만들고 이들 각각의 구조들이 전체적 연관성 안에서 작동하도록 하는데 두어졌다. 그것이 바로 ‘팀 작업’이다. 전 학년 학생을 100명을 단위로 한 여섯 개의 팀으로 나눈 후 (각 팀은 25~26명이 한 학급을 이루는 작은 학급 4개로 구성, 각 팀을 6-8명의 교사가 하나의 팀을 이루어 6년 동안 지속적으로 가르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고도의 자기 책임성과 자율성을 익히도록 시도했다. 담임교사는 자기 팀에서 좀 더 많은 시간을 갖게 했는데, 저학년일수록 더욱 그렇게 하였다._p.28
새로운 사회의 특징은 디지털화 된 사회가 만들어내는 가상공간이다. 이제는 이 공간이 본격적인 삶의 자리이자 학습의 자리가 되었다. 무한한 정보의 바다와 그것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자유로운 쌍방간 의사소통과 정보교류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적 학습이 바로 그것이다. 거리에서, 카페에서, 공원에서, 운동장에서, 식당에서 학습이 새로운 의미와 정당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그 각각의 공간에 독립성과 독자성을 부여하고 이들 공간을 학교 공간과 상호 네트워킹 해야 할 필요가 부상하였다. 그에 따라 전통적 수업-학습 방식은 물론 학습공간의 위상은 상대화되는 상황에 처하였다. 그러한 변화에 따라 학교 공간에서 상응하는 시설을 확충하는 동시에, 나아가서는 가상공간 전반에서 자율적,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세계를 구축해 가고 또 학교 공간과 상호 연관구조 속에서 학습해 나갈 수 있도록 촉진할 필요가 있다._p.47~48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에서 방점을 찍을 수 있는 것은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환경과 스마트 환경 하지만 여기서 스마트 환경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환경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어떻게 구성하고 학교가 그것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되는지에 대한 부분들을 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