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_30년을 넘어서
일본어판 서문_나아가기 위해 돌아보기
제1장 | 냉전 붕괴와 한일관계
1. ‘책임 회피 일본’이라는 인식
‘학문의 정치화’ / ‘시대의 변화’와 새로운 갈등 / 한일 대립인가, 좌우 대립인가
2. ‘팩트’는 변한다
역사인식을 둘러싼 ‘엇갈린 논의’ / 해석 싸움으로서의 역사인식
3. 한일기본조약을 둘러싼 한일인식의 엇갈림
마주본 지 이제 30년 / ‘청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식민지시대’라는 인식
4. ‘역사의 사법화’와 징용 피해자
과거를 둘러싼 양분된 해석 / 수명을 다한 ‘법’지상주의
제2장 | 징용 문제
1. 조선인 징용이란 무엇인가
한구석으로 밀려나 있던 징용 문제 / 동원 주체는 일본 ‘국가’ / ‘신민’의 자격, 가족과의 이별 / 계급동원이기도 한 조선인 징용
2. 한일 양쪽에서 잊혀진 몸과 마음의 ‘감옥’
탄광노동의 의미 / 폭력과 질병과 죽음이 일상화된 공간 / “우물에 갇힌 고기” / 징용이 잃게 만든 것 / 세계문화유산과 기억의 방식
3. 징용 판결과 ‘한일병합불법론’
식민지배 ‘위자료’로서의 배상금 / 한일협정과 개인청구권 처리 / 개인청구권을 둘러싼 또 하나의 생각
4. 과거청산과 전체주의
과거청산으로서의 개인청구권 / ‘화해금’을 둘러싼 또 하나의 해석 / ‘법지상주의’와 ‘전체주의’
5. 징용을 둘러싼 한국 내부의 대립
차별은 없었나 / 소송지원자들의 해결방식의 모순
6. 1960년대의 사고와 ‘법’을 넘어
오늘의 시각으로 과거를 다시 묻기 / 징용 문제를 둘러
1910년 한일병합과 1965년 한일협정에서 최근 30년의 ‘역사의 사법화’ 사태까지,
악화일로를 걸어온 한일관계, 진영을 넘어 있는 그대로의 역사와 마주하기 위한 첫걸음!
이 책은 위안부 문제가 꼬인 원인을 찾기 위해 199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최근 30년의 운동과 연구에 대해 돌아보고 있다. 원인을 알아야 해결이 가능하다는 생각에서다. 특히, 위안부 문제와 함께 몇 년 전부터 또 하나의 대립을 낳고 있는 징용 피해자 문제를 다루면서, 이들 문제를 둘러싼 관계자들의 사고방식의 배후에 있는 1910년의 한일병합과 1965년의 한일협정에 대해서도 고찰했다. 이들 문제들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함께 생각하지 않으면 문제에 대한 올바른 사고를 정립할 수도, 합의점을 찾을 수도 없다는 생각에서다.
지난 30년간 위안부·징용 피해자 문제는 한일 양국의 역사논의를 이끌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법’적 해결만을 요구하는 ‘역사의 사법화’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핵심관계자들은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이런 사실은 알려져 있지 않고, 그저 사법부의 판결만 온 국민이 바라보는 기묘한 이중구조 속에 놓여 있는 것이 현 상황이기도 하다. 저자는 그런 정황을 확인하면서 역사 문제를 둘러싼 작금의 갈등이 어디에서 기인되었는지를 하나하나 섬세하게 풀어간다.
동시에 이 책의 또 하나의 중요한 지점은 왜 일본인들이 징용 피해자 문제에 더 관심을 갖고 기억해야 하는지를 당시의 자료를 사용해 설파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제국의 위안부』가 그랬던 것처럼 식민지지배가 야기한 문제임을 지적하는 저자의 문제제기는 일본에서도 귀 기울이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반성하지 않는 일본’이라는 이미지와 역사 뒤의 ‘마음’들
‘과거사에 대해 사죄도 보상도 하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는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