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은 종종 ‘지조와 절개를 지킨 열녀 이야기’로 요약되는데, 성춘향은 순수하고 얌전하기만 한 여성이 아니다. 남녀 사이에 엄격했던 조선 시대에 몽룡과 따로 만나고 신분 상승을 기대하며 몽룡의 마음을 받아들인다. 기생의 딸이지만 당당한 태도로 일관한다. 〈사랑가〉를 노래하며 어르는 몽룡에게 “나는 어찌 이생이나 후생이나 밑으로만 되라 하오? 재미없어 못 쓰겠소” 하고, 어쩔 수 없이 헤어져야 한다는 말에 사납게 돌변하며 도리를 다하라고 요구한다.
눈 높고 도도한 이 소녀는 고난의 시간을 거치며 한층 단단해진다. 이별의 아픔을 인내하고, 자기를 잡으러 온 사령들을 침착하게 맞이하기도 하며, 변학도의 겁박을 매섭게 비판한다. 사또를 거절하지 말았어야 했다는 월매의 후회에도, 거지꼴로 내려온 몽룡을 보고서도, 수청을 드느니 죽기로 결심한다. 몽룡과 함께하기로 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의리’를 지키려는 것이다.
열여섯 소녀의 목숨을 건 의지와
겁 없는 민중의 연대에서 꽃핀
영원불멸한 사랑 노래
춘향의 행동은 사랑이란 나로 살 수 있는 용기를 주는 가장 강렬한 감정 중 하나이며, 주체적인 선택임을 보여 준다. 서슬 퍼런 사또 앞에서도 겁 없이 춘향의 편을 들며 화를 내 주는 남원 사람들에게서는 연대라는 또 다른 결의 사랑을 발견할 수 있다. 《춘향전》은 애정소설에 그치지 않는다. 목숨을 걸고 자신의 ‘의지’를 지키는 춘향,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춘향을 ‘지지’하는 백성들, 신분의 벽을 ‘초월’해 정렬부인이 되는 결말은 많은 이에게 기쁨을 주며 이 작품을 영원한 고전으로 만들었다.
성장하는 한 소녀의 이야기, 부당한 권력에 같이 저항하는 이야기로서의 《춘향전》. 청소년 독자가 이 점에 주목할 수 있도록 당돌한 춘향과 생생한 묘사가 두드러지는 완판 84장본을 실었다. 판소리에서 온 각종 언어유희와 우리말 표현들은 《춘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