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감각의 표현이 성취한 근대 미술
미술의 근대성
감각의 현현한 표현
이성으로 파악한 삶의 재현
감각-인상의 집합
감각이 찾은 개인 양식
순수미술과 문화
순수미술 | 문화
요약
학습 요점
제2장 이성에서 감각의 계발로 변화한 학교 미술
근대성
근대성과 계몽주의
계몽주의와 교육
루소의 미술교육
경험 중심 교육 | 감각을 통한 관념의 계발 | 정서, 이성, 신체의 발달을 위한 전인교육 | 모사와 기하학 교육
페스탈로치의 미술교육
감각-인상 | 감각-인상과 시각교육 | 감각-인상의 A B C | 페스탈로치 미술교육의 영향
러스킨의 미술교육
도덕성의 표현으로서의 미술 | 낭만주의적 경향의 미술교육 | 취향의 계발 | 구성 교육
요약
학습 요점
제3장 한국 학교 미술의 시작
근대 이전의 미술교육
일본 미술교육의 근대화
『세이카신난』: 일본 최초의 미술 교과서 | 『삽화가 들어간 드로잉 책』
한국 미술교육의 근대화
요약
학습 요점
제4장 개인적 자유의 실현을 추구한 현대 미술
모더니즘 미학
아방가르드 | 추상: 단순화의 방법 | 동시성과 복수성 | 보편주의 | 형식주의 | 개인주의와 주관주의 | 자본주의와 20세기의 현대 미술 | 상층문화와 하층문화의 구분
대서사의 “~주의” 미술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무의식적인 마음의 외침 | 입체주의: 복수적 관점의 종합 | 신조형주의: 미술의 요소와 원리의 추구 | 야수주의 | 표현주의 | 추상표현주의: 무의식의 표현 | 팝 아트: 일상의 오브제와 대중문화의 차용
요약
학습 요점
제5장 미술교육의 두 경향: 삶 중심과 인간 중심
과도기의 종합적 미술교육
디자인 교육
아서 웨슬리 도우의 디자인 이론 | 덴먼 로스의 순수 디자인 이론 | 한국 미술교육에 디자인 교육의 유입 | 20세기 중반 이후의 디자인 교육: 조형의 요소와 원리의 학습
“감각을 통한 이성의 계발”, “내면의 성장”, “미술이 있는 삶”
루소의 교육 방법을 들뢰즈의 철학으로 재해석한
21세기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감각에 호소한 교육은 그렇다면 어떻게 가능할까? 오로지 감각에 호소하는 교육만으로 미술교육이 자기 역할을 마친 것이라 할 수 있을까?
저자는 어린 시절 자신이 어떻게 미술을 접하며 성장했는지를 돌아본다. 일본에서 들여온 화집을 우연히 접하면서 받은 시각적 자극, 다양한 화가들의 작품에 대한 몰입과 모방, 그러한 번역 과정에서 탄생하는 혼종적 창의성 등, 이러한 본인의 경험을 현대의 이론으로 해석해낸 저자는 이를 한 차원 더 발전시켜 모방과 번역 행위가 궁극적으로 내적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의미 만들기”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18세기 사상가 장 자크 루소는 감각을 통해 이성을 계발할 목적으로 시각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했는데, 이는 학교에서 미술을 가르치는 최초의 이론적 근거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근대 미술교육이 어떠한 이유로 형성되고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왔는지 그 역사를 들려준다. 근대 서양에서 탄생한 미술교육의 이론적 근거로 작용한 루소의 이론과 페스탈로치와 러스킨으로 이어지는 미술교육 방법론이 일제시기 일본을 거쳐 한국에 도입되는 과정을 통해 오늘날 한국의 미술교육의 연원을 추척한 내용 또한 흥미롭다.
근대 모더니즘에 대한 해박한 지식에 이어 21세기의 경제·사회적 조건인 포스트모더니티, 사고 체계인 후기구조주의, 문화와 예술운동인 포스트모더니즘 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통한 저자의 동시대 미술에 대한 해석은 각 시대별로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 미술교육의 방법론의 변천이 왜, 그리고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거시적인 시야를 제공한다.
특히 저자는 21세기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도출해내기 위해 루소와 들뢰즈의 철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일찍이 시각문화 중심의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한 루소에 이어 들뢰즈의 타자와의 관계, 상호 의존성에 의한 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