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감사의 글
1 서론
패션의 어원 | 개념과 현상으로서의 패션 | 패션의 지지자와 반대자 | 사회과학에서의 패션 연구 | 책의 개요 | 더 읽을 거리
2 패션에 관한 사회학적 담론과 실증적 연구
패션의 고전 사회학 담론 | 패션, 모더니티, 사회적 이동성 | 패션 현상의 기원 | 패션의 현대 사회학 연구 | 패션과 문화사회학 | 생산된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패션 | 청년 패션, 하위문화, 테크놀로지 | 결론 | 더 읽을 거리
3 제도화된 시스템으로서의 패션
패셔놀로지의 이론적 틀 | 시스템이 뒷받침하는 신화로서의 패션 | 패션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접근법 | 패션 시스템의 시작 | 집단 활동으로서의 패션 생산 | 실증적 연구: 원형으로서의 프랑스 패션 시스템 | 결론 | 더 읽을 거리
4 디자이너: 패션의 화신
패션 연구에서의 디자이너 | 디자이너, 창의성, 사회 구조 | 디자이너 창의성의 정당화 | 디자이너의 스타 시스템 | 패션 시스템 내 디자이너 간의 위계질서 | 결론 | 더 읽을 거리
5 패션 생산, 게이트키핑, 확산
패션 확산 이론 | 패션 게이트키퍼: 미학적 판단 | 패션 인형에서 패션쇼까지, 패션 확산 전략 | 광고를 통한 패션 선전 | 결론 | 더 읽을 거리
6 패션의 채택 및 소비
소비: 역사적 관점 | 상징적 건략으로서의 패션 소비 | 소비와 사회적 지위 | 결론 | 더 읽을 거리
7 대안적 시스템으로서 청년 하위문화 패션
하위문화의 이론적 기초 | 포스트하위문화 이론과 현대 청년 하위문화 | 청년 하위문화 및 패션에 관한 시스템적 접근 | 펑크: 덜 구조화된 대안적 패션 시스템의 원형 | 대안적 패션 시스템의 내부 메커니즘 | 결론 | 더 읽을 거리
8 테크놀로지가 변화하는 패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수평전파 이론의 실제: 범주 간 경계의 붕괴 | 패션의 변화하는 직업 구조 | 파리에서 세계로, 패션 지형의 탈중심화 | 결론
부르주아 남성의 과시 수단이 된 아내와 딸들의 ‘숙녀다움’ 그리고 패션의 여성화
복식학자들에 따르면, 18세기까지 유럽 엘리트 집단의 복식에서 성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귀족 남녀 모두가 레이스, 벨벳, 고급 실크뿐 아니라 장식이 과한 신발, 가발, 모자, 화장품을 착용하거나 사용했다. 그중에서 현대 소비 모형의 유래가 된 ‘소비의 왕’ 루이 14세는 사치스럽고 화려한 의복과 장신구에 빠져들었고, 프랑스의 위대함을 주장하고자 연회와 축제, 무도회를 개최했다. 패션의 유행을 선도하는 왕을 모방하려는 귀족들은 막대한 빚을 지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유럽에서는 사치 규제법을 제정하여 하류층 사람들이 상류층처럼 입거나 생활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패션은 엘리트들만의 것이었고, 복식은 계급의 상징이자 권력의 상징이었다.
18세기 말 유럽 엘리트 남성들이 밝고 화려한 장식을 탈피하여 비즈니스와 레저 맥락에서 실용성을 추구하기 시작하면서 패션에 대한 관심과 아름다움에 대한 집착은 여성의 것이 되었다. 이후 더 노골적으로 여성은 눈요깃감, 패션은 여성의 낮은 지위에 대한 보상으로 여겨졌고, 끊임없이 ‘숙녀다움’을 강요받은 아내와 딸들의 우아함은 남성의 부와 명성을 과시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지멜과 베블런 등 초기 사회과학 이론가들은 패션의 개념을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연결했지만, 오랫동안 연구자들에게 패션은 모순적이며 덧없고 지적인 근거가 없어 연구 주제로 타당하지 않다고 여겨졌다.
의복과 패션을 바라보는 오래된 관점과 시각
장 자크 루소는 예술이 도덕과 사고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보며 사치에 반대했지만, 오노레 드 발자크는 품행과 장신구의 미묘한 차이를 몸소 경험하고, 이런 것들이 부르주아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했다. 스타일에서 미묘한 디테일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였기 때문이다. 현대 복식을 착용한 아름다운 여성을 관찰하는 것을 즐겼던 샤를 보들레르는 ‘댄디’의 개념을 지적으로 탐구했고, 시인 스테판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