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제1부 호러영화 속의 아파트 역사
그 무서운 데를 왜 가느냐: 호러영화 속에 그려진 아파트를 찾아서__(손종업
1. 호러 서사와 호러 여행자들
2. 아파트에 관한 ‘진심, 소오름’의 역사들
3. 호러는 어떻게 아파트의 빈틈으로 스미는가
4. 삶의 환유: 너희가 아파트에 사느냐
5. 결론을 대신하여: 지금, 우리 아파트는
아파트가 등장하는 공포영화 목록
제2부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영화 분석
시민을 고려하지 않는 시민아파트의 공포: <소름>과 금화시민아파트__(엄학준
1. 시민아파트의 탄생과 몰락
2. 하층민의 열악함을 상징하는 금화시민아파트
3. 하층민을 끌어당기는 통발, 아파트
4. 금화시민아파트가 남긴 것
영화 <아파트>에 나타나는 공포의 구조__(모희준
1. 덕후, 아파트를 만나다
2. 영화 <아파트>와 공포의 구조
3. 우리는 <아파트>를 나갈 수 있을까
연쇄살인범과 함께 살아가기: <이웃사람>과 만덕주공아파트__(김민수
1. 들어가며: 아파트라는 이름의 나라
2. 영화 속 아파트 공간과 실제
3. 계단 아래 숨겨진 살인의 집
4. 아파트 공간의 두 얼굴
5. 나오며
아파트, 침입과 불안의 공간: <숨바꼭질>과 동대문아파트__(심우일
1. 도시화의 공포
2. 1960년대 연예인 아파트
3. 중정 구조의 활용
4. 두 아파트 공간의 대비
5. 아파트라는 현대인의 공포
1인 가구 여성의 불안한 밀실: <도어락>과 대선월드피아__(임영봉
1. 거주를 위한 ‘집’과 ‘문’
2. 오피스텔, 불안한 꿈을 꾸는 개인의 밀실
3. 도시,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거대한 집
4. 장소로부터 해방된 삶과 거주의 미래
아파트 공간의 익명성과 윤리의 문제: <목격자>와 파주휴먼시아__(이주성
1. 아파트 공간에 투영된 익명성
2. 익명성으로는 보호받을 수 없는 개인의 생존
3. 본연의 가치를 상실한 아파트와 거주민의 욕망
좀비 서사와 아파트: 영화 <
오늘날 아파트는 한국 사회에서 주요한 주거 공간이 되었다. 적은 땅에서 많은 인구가 거주하기 위해 아파트가 도시 구석구석 지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어느 순간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사회적인 상징체계로서 사람들의 부와 계급을 드러내는 물질적 공간이 되었다.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아파트는 시민아파트라는 이름으로 지어져 서민들이 모여 살아가는 집단 주거 공간에 불과하였다. 그러던 것이 1970년대 서울의 도심 인구를 분산시키려는 목적으로 시행된 강남의 도시 개발과 맞물려지면서 아파트 신화는 시작되었다. 아파트가 지어지고 무수한 사람들이 청약을 신청하면서 서서히 아파트는 더 이상 서민들이 거주하는 공간이 아니라 부동산 투기의 대상으로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아파트의 역사는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평생 동안 돈을 벌어서 아파트를 사는 것이 삶의 목적인 시대가 되었다. 그야말로 한국 사회는 소위 아파트 공화국이 되어 버린 것이다. 아파트는 이제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욕망하는 거주 공간이자 삶의 양식이 되어 버렸다. 출판 시장에 무수한 아파트 관련 저서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그것은 아파트에 대한 건축학적 접근이거나 현명한 부동산 투기를 위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아파트라는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이고 대중문화적인 관점의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은 호러영화(공포영화 속에 나타난 아파트를 중심으로 어떻게 아파트 공간이 영화 속에서 활용되고 그것이 공포를 자아내는지, 그리고 아파트가 한국 사회와 대중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하하였다. 동시에 이 책의 말미에는 문화콘텐츠로서 호러영화 속의 아파트가 활용될 수 있도록 간략한 호러영화 속에 등장하는 아파트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제1부는 호러영화 속의 아파트 역사에 관해 분석하였다. 호러영화 속에 나타나는 아파트들을 중심으로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계보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호러영화 속에서 아파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