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탈신성화의 정치신학을 위하여 5
1부 현대 정치철학과 정치신학 13
1장 현대 정치철학은 어째서 신학에 주목하는가? 15
다시 소환되는 정치신학 15현대 정치철학자들이 신학에 주목한 이유: 발터 벤야민과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 23종교 비판 이후에 과연 신학은 가능한가? 32현대 정치철학과 신학과의 만남: 바울의 소환 41
2장 고대 이스라엘이라는 상상적 기원 45
고대 이스라엘 역사와 오늘날의 팔레스타인 45‘고백’으로서의 역사: 성서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53고대 이스라엘 민족은 어디서 유래하였는가? 60이스라엘 종교는 가나안 종교에 대해 배타적인가? 67
2부 성서의 정치신학과 메시아주의 75
3장 이스라엘 왕정 수립과 두 가지 정치신학 77
고대 이스라엘의 표준적 역사와 두 가지 정치신학 77지파 동맹 체제의 탈국가적 정치신학 79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왕정 신학 88이스라엘 왕국의 분열과 패망 98왕정 신학의 실패에 대한 반성 101
4장 ‘디아스포라’ 시대의 메시아주의 103
디아스포라의 시대가 시작되다 103이스라엘 패망에 대한 평가와 메시아 사상 104포로기 이후의 메시아주의 111예수 시대의 메시아주의 115메시아의 도래와 하나님의 나라 126예수, 메시아를 해체한 메시아 133
5장 바울의 정치신학과 메시아주의 139
유대 사회와 디아스포라의 공동체들 141바울과 예루살렘 공동체와의 관계 144바울이 추구한 공동체 156하나님의 나라와 로마 제국 169새로운 피조물, 혹은 메시아적 삶 173
3부 탈신성화의 정치신학 179
6장 근대 국가론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정치신학 181
근대 국가론, 그리고 홉스를 다시 불러낸 슈미트 181칼 슈미트의 근대 국가론 비판 187주권자와 국가의 외부 192슈미트의 주권 독재에 대한 벤야민의 비판 196진정한 예외상태와 벤야민의 메시아주의 199슈미트의 정치신학과 벤야민의 메시아주의 207
7장
신을 경험할 수 없는 시대에
성서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는가?
현재의 해체로써 현재를 구원하기
타우베스, 바디우, 지젝, 데리다, 아감벤 등 오늘날의 현대 정치철학자들은 근대 이후로 신학이 공적 영역에서 배제되어 온 것처럼 보여도 서구 정치와 제도에 내적 논리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로 결속되어 있었다고 진단한다. 즉, 근대 정치는 국가, 민족, 역사, 인종, 계급 등의 개념들에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초월적 신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사람들의 눈과 귀를 가리는 정치적 우상들이기도 하다. 현대 정치 철학은 바울의 급진적인 사상을 통해서 이러한 정치적 우상들과 맞서고자 한다. 나아가, 근대 정치에 의해 배제되고 추방되어온 소수자들의 ‘메시아적’ 정치를 지금 여기서 실현하고자 한다. 『불가능성의 정치신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은 현대 정치철학과 바울의 급진적인 정치신학이 이러한 ‘탈신성화’의 기획 속에서 어떻게 만날 수 있었는가에서 출발한다.
어째서 성서를 정치와 관련하여 해석해야 하는가?
성서에 공존하는 두 가지 이미지의 메시아
저자는 정치와 분리해서는 성서를 제대로 해석할 수 없다고 본다. 성서가 단순히 종교와 관련된 내용만이 아니라, 이스라엘 왕정의 흥망성쇠에 대한 역사적 기록과 그에 대한 신학적 평가를 담은 책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왕국의 패망을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이스라엘을 다시금 재건할 메시아는 어떤 존재인지 등이 성서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들이다.
성서에서 정치신학이 등장하게 되는 계기는 왕정 수립을 전후로 한 논란 때문이었다. 왕정 수립을 둘러싼 두 견해는 이스라엘 왕국 수립 이후 왕정 체제를 옹호하고 정당화하는 왕정 신학과, 이스라엘 왕국 패망의 원인이 왕실과 귀족들의 부정부패와 종교적 타락에 있었다고 지적한 반왕정 신학으로 나뉘었다. 이는 메시아에 대해서도 상반된 두 가지 이미지를 갖도록 만들었다.
왕정 체제를 옹호하는 예언자들은 주변 민족들을 물리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