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5
시작하는 말 11
1. 문화와 예술 용어
낯선 문학들 27
기회시(機會詩 35
유탕문학(遊蕩文學과 저회취미(低徊趣味 38
청탑파와 제비족 41
공장가는 어떤 노래일까? 45
몽롱체(朦朧體라는 예술 용어 47
기생 학교의 정체 50
출판과 인쇄 용어 54
조각 관련 용어들 59
인명(人名 풀이 64
그 밖의 말들 69
2. 경제와 노동 용어
경영 관련 용어 75
이상한 계약들 82
수표와 어음을 가리키던 말 85
노동자들의 투쟁 92
노동조합과 노동자 100
3. 정치와 법률 용어
사회왕제와 사회국가 109
국회와 정치 관련 용어 112
법률 용어 122
4. 교육과 의학 용어
학교와 교육 131
온습회(溫習會 137
의학 용어 139
5. 종교와 역사 용어
오중탑과 오륜탑 147
난탑장 150
무연탑과 공양탑 153
승려에게 내려주었다는 직책 160
초령목(招靈木과 공화회(供華會 163
일본 불교의 특성 168
신판(神判과 탐탕(探湯 174
불로장생의 꿈을 담은 문(門 178
요선(僚船의 정체 181
그 밖의 말들 184
6. 자연 용어
눈[雪]과 관련한 말들 189
낯선 선인장 이름 193
짐승에도 음성(陰性이 있을까? 198
그 밖의 말들 200
7. 전문 분야 용어들
공사 용어 207
교통 용어 212
농업 용어 216
체육 용어 220
군사 용어 225
그 밖의 전문 용어 229
8. 음식과 일상생활 용어
술 이름 235
음식 이름 241
윤건(綸巾과 관건(綸巾 247
연리(戀里와 홍규(紅閨 250
그 밖의 말들 253
9. 일본어사전 풀이를 그대로 가져온 말
일본 사전 그대로 263
10. 일제 식민지
대한민국 ‘국어사전’ 이대로 괜찮은가?
국어사전의 기본과 기초에 대한 문제제기
세상의 언어는 다른 언어와 접촉하고 교류하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스며들기 마련이다. 우리말도 중국어의 영향은 물론이거니와 몽골이 지배하던 시기에는 많은 몽골어가 우리말 속으로 들어왔고, 일본말이 또한 그랬다. 불교 용어는 대부분 고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를 중국 사람들이 한문으로 번역한 것을 그대로 들여왔다. 지금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 언어가 빠른 속도로 파고들어 우리의 언어생활을 지배하다시피 하고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이 분명 있지만 한편으로는 외국말이 들어와 우리말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 풍부하게 해주고 표현의 폭을 넓혀주는 장점도 있다.
우리말 속에 일본말이 많이 들어와 있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고,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아니다. 우리말 속으로 들어와 우리 것이 되었다면 잘 쓰면 되고 아니면 버리면 되기 때문이다. ‘일본어에서 온 우리말 사전’처럼 일본에서 만든 말을 모아놓은 책도 있고,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언어순화운동을 펼쳐 일본말을 비롯한 낯선 외국말들을 고유어나 쉬운 말로 대체해온 성과도 있었다.
하지만 국어사전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우리 국어사전이 일본어사전과 일본에서 펴낸 여러 사전들의 영향을 얼마나 많이 받았는지 새삼 놀라게 된다. 아니 영향을 받은 정도를 넘어서 우리는 거의 쓰지 않는 말인데 일본어사전이나 일본 백과사전에 올라 있는 것을 가져다 국어사전에 실은 경우도 있고, 일본과 우리가 같이 쓰는 말이지만 일본어사전의 풀이를 그대로 베끼다시피 한 경우도 많다. 일제 강점기 시기에 잠시 사용하기는 했지만 해방 이후로는 안 쓰는 말인데도 별다른 설명 없이 마치 지금도 사용하는 말인 듯이 실은 경우, 심지어는 그마저도 풀이를 잘못했거나 한자 표기를 다르게 한 경우도 많다.
신간 《국어사전 독립선언》에서는 아무도 쓰지 않는 일본 한자어가 국어사전에 들어와 있거나 일본의 역사와 문화, 법률 등에서 비롯한 말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