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존재 이유를 찾는 여정
클래식, 어쩌면 온전히 듣는 자의 것
거장 스티븐 허프는 최고의 자리에 있음에도 음악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생각, 누가 듣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되돌아가 책을 시작한다. 그는 오디션을 봤던 위그모어 홀과 교회를 연주 공간으로서 재조명하며 책을 열고 이어서 관객을 돌아본다. 클래식 음악이 모두에게 평등해야 함을 말하기 위해서다. “클래식 음악은 세대를 넘나든다. 시대를 초월하고, 만인 공통이며, 영원히 늙지 않는다.” 그러고는 사실 클래식 음악이 모두를 위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사회적, 경제적 배제의 논리가 존재하며 쉽게 즐길 수 없는 “노력이 필요한” 감상 활동이라는 것이다. 이는 클래식 음악을 즐기지 않는 사람의 탓도 어려운 곡의 탓도 아니다. 그저 시차가 있을 뿐이다. 글에 그치지 않고 그 시차를 줄이기 위해 몸소 시차를 이겨내 가며 꾸준히 투어를 이어가는 저자의 실천은 잔잔한 감동을 준다.
허프는 관객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하며 클래식 연주회에 가는 것이 수동적인 경험이 아니며 관객이 공연의 필수 요소임을 강조한다. 팬데믹으로 인한 잇단 공연 취소에 좌절하지 않고 앨범 작업을 멈추지 않은 그의 노력은 음악의 존재 이유인 청자에게 응답하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다.
음악과 인간에 대한 무한한 애정에서 비롯된 이야기
글 쓰는 음악가 스티븐 허프
『한 번 더 피아노 앞으로』를 통해 저자는 클래식 음악에 대한 애정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올 8월 한국에서 선보인 차이콥스키, 라흐마니노프에 대한 애틋한 감정에서 시작해 엘가와 종교, 베토벤과 카덴차, 디킨스를 떠올리게 하는 브람스의 음악, 슈베르트의 인간미 가득한 천재성, 보웬의 고집, 자유도 높은 몸푸의 음악, 바흐에 대한 기호, 쇼팽과 리스트가 불을 지핀 연주 기법의 영역, 재즈와 아시아 음악에 영향을 준 드뷔시, 글렌 굴드와 현대적 녹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주제를 타고 글로 연주를 계속한다. 책을 읽어나가면 스티븐 허프와 시즌 투어를 내내 함께하고 있는 듯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