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5
일러두기9
제1장 반야경의 해제 19
I. 반야경 19
1. 경명經名에 대하여19
2. 반야경과 대승불교20
3. 반야경전의 성립22
4. 반야경의 내용과 사상24
5. 반야경을 설한 이유25
6. 대품계 반야경과 『소품반야경』26
7. 반야경의 발전27
8. 한국의 경우29
II. 반야경의 유래 30
1. 현장삼장玄三藏의 천축 구법30
2. 현장의 귀국과 역경사업33
III. 반야학 35
1. 반야학이란35
2. 격의불교格義佛敎37
3. 삼론학파의 형성39
제2장 반야경과 그 주석서들 41
I. 반야경의 분류 41
1. 『대반야바라밀다경』 → 『대반야경』41
2. 『마하반야바라밀다경』 → 『대품반야경』44
3. 『방광반야바라밀다경』 → 『방광반야경』45
4. 『소품반야바라밀경小品般若波羅蜜經』46
5. 『인왕반야바라밀경』 → 『인왕경』47
6. 『실상반야바라밀경』 → 『실상반야경』48
7. 『금강반야바라밀경』 → 『금강경』51
8. 『반야바라밀다심경』 → 『반야심경』53
9. 여타 반야경전들56
II. 『성실론』의 제법개공론 59
1. 공사상의 논서59
2. 『성실론』의 공사상60
3. 『성실론』의 내용61
III. 반야경의 주석서 62
1. 『대품반야경』의 주석서62
2. 『소품반야경』의 주석서66
IV. 반야경의 중국 해설서 68
1. 달마의 『소실육문少室六門』68
2. 승조의 『조론』72
3. 혜능의 『육조단경』74
4. 길장의 주석서77
제3장 반야사상에 기초한 경과 논서들 79
I. 반야사상에 기초한 대표적인 경전 79
1. 『능가경』79
2. 『유마경』83
3. 『설무구칭경』86
4. 『승만경』87
5. 『법화경』의 제법실상론90
6. 『화엄경』93
7. 공관삼매경空觀三昧經들101
II. 삼론종의 주요 논서 105
1. 『중론中論』106
2. 『백론百論』107
3. 『십이문론十二門論』108
4. 『중론
모두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에서는 반야경의 전체적인 소개를 담고 있다. 여기에는 반야경의 경명으로부터 그 성립과정과 중국에서의 번역, 그리고 반야학의 역사적인 전개과정을 담고 있다.
제2장에서는 방대한 반야경의 종류와 주석서들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반야경에 대한 중국에서의 해설서들을 설명하고 있다.
제3장은 반야사상에 기초한 대표적인 경전들과 논서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에서 반야사상으로 종파를 성립시킨 삼론종의 주요 논서와 주석서들에 주목하고 있다.
제4장은 반야경의 사상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는 반야의 사상적 입장과 실체, 그리고 대품경과 소품경의 내용을 아우르고 있다.
제5장은 반야와 공사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구하고 있다. 특히 지혜로 상징되는 반야바라밀과 공사상의 유기적인 관계를 공유空有 개념과 불이법문不二法門으로 풀어내고 있다.
제6장은 반야사상에 근거한 수행론을 전개하고 있다. 여기에는 반야십지般若十地와 십진여十眞如, 보살의 6바라밀 수행과 오종수행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제7장은 반야와 연관하여 선과 삼매에 대해 논하고 있다. 선바라밀과 『능가경』의 4종선, 삼매三昧론, 그리고 『좌선삼매경』과의 관계 등을 논구하고 있다.
제8장은 반야의 구체적인 실천법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아공관我空觀, 법공관法空觀과 비안립관非安立觀, 그리고 공관空觀으로서의 삼공관문三空觀門과 십팔공관十八空觀에 대해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반야경에 있어서 번뇌와 업業의 문제와 해탈·성불의 길을 제시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그리고 맨 뒤에는 부록으로 반야경과 관련된 용어와 개념들을 선별하여 자세하게 해설하고 있다.
이처럼 이 책은 방대하고도 심오한 반야경의 사상적인 흐름과 그 대표적인 주석서들, 그리고 반야사상에 기초한 대표적인 경전들을 소개하고, 반야경이 말하고 있는 반야바라밀과 공사상의 내용 및 그 의미를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수행의 목표인 열반(성불을 위한 반야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