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에리히 프롬과 불교 : 존재양식과 깨달음 - 대원불교 학술총서 4
저자 박찬국
출판사 운주사
출판일 2022-09-25
정가 20,000원
ISBN 9788957467084
수량
발간사·5
서문·7

서론. 에리히 프롬과 불교 15

I. 쇼펜하우어와 니체 그리고 프롬의 불교관 19
1. 쇼펜하우어의 불교관·20
2. 니체의 불교관·24
3. 프롬의 불교관·31
1 소유양식과 존재양식·34
2 쾌감과 기쁨·38
3 탐진치에 사로잡힌 삶으로서의 소유양식과 탐진치를 극복한 삶으로서의 존재양식·40
4 사마타와 위빠사나로서의 프롬의 수행론·44
(1 정신집중·44
(2 깨어 있기·46
(3 무아를 체득하는 훈련으로서의 사마타와 위빠사나·50
5 최고의 인본주의적 종교로서의 불교·57
6 성성적적惺惺寂寂의 상태로서의 신비체험·62
7 무의식에 대한 프롬과 불교의 견해·76

II. 프롬의 인간관과 불교의 인간관 81
1. 인간과 동물·81
2. 프롬의 욕망론·84
1 결합과 합일을 향한 욕망·85
2 초월과 창조를 향한 욕망·87
3 지향의 틀과 헌신할 대상에 대한 욕망·88
3. 실존적 욕망들의 의의·90
4. 프롬의 인간관과 실존철학·93
5. 불교의 입장에서 본 프롬의 인간관·100
6. 인간의 과제로서의 나르시시즘과 이기주의의 극복·122
7. 자기애와 이타주의·144
8. 프롬의 자기애와 불교의 자리이타·149
9. 규범적 인간주의·154

III. 덕 윤리로서의 프롬의 윤리학과 불교의 윤리학 161
1. 성격과 윤리학의 근본문제·161
2. 생명지향적 성격과 파괴적 성격·163
3. 권위주의적 윤리와 인본주의적 윤리·167
4. 프롬과 불교 그리고 덕 윤리·171
5. 사회적 성격과 사회구조의 변혁·177
6. 현대인들의 사회적 성격: 네크로필리아·182

IV. 프롬의 정신분석학과 불교 187
1. 프로이트와 마르크스 그리고 무의식에 대한 탐구·187
2.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역사적 의의·191
3.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한계·194
1 본능주의적 성격·194
2 어린 시절의 경험에 대한 지나친 강조·196
3 상대주의적인 입장·198
4.
1.
불교가 서양에 소개되면서 철학, 문학, 문화, 예술 등 다방면에서 불교를 적극 수용하여 자신들의 자산을 풍부하게 전개한 이들이 생겨났다. 이는 서양 우월주의에 빠져 있던 당시의 풍조에서 볼 때 파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근현대 서양철학자 중 불교를 높게 평가한 대표적인 인물로 쇼펜하우어, 하이데거, 니체, 프롬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중 프롬은 단연코 서양철학자 중 가장 불교적인 사상을 전개하였고, 불교를 가장 높게 평가한 철학자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실제적으로 불교적 삶을 실천한 수행자이기도 하다.
이 책은 불교에 우호적 시선을 보냈던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사상을 불교사상과 관련하여 간략히 살펴보고, 주로 프롬의 사상과 불교의 사상을 여러 측면에서 비교하면서 그 동질성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2.
쇼펜하우어는 19세기까지의 서양철학자 중에서 불교를 유일하게 긍정적으로 보았을 뿐 아니라 심지어 자신의 철학과 불교가 동일한 내용을 갖는다고 보았던 철학자다. 쇼펜하우어는 무엇보다도 불교가 고통의 원인과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마음에 대한 철저한 성찰에 입각하여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불교와 비교하면서 쇼펜하우어는 그리스도교를 아직 유아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종교라고까지 평했다.
니체 역시 그리스도교보다 불교를 훨씬 훌륭한 종교로 본다. 니체는 불교를 이미 고도로 발달된 정신문명의 정화로 보는 반면에 그리스도교는 아직 문명의 맹아도 보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니체는 불교에 대해서도 비판적인데, 즉 그리스도교에 비해서 불교를 훌륭한 종교로 보지만, 그렇다고 해서 쇼펜하우어처럼 불교가 그리스도교를 대체해야 한다고 보지 않는다. 니체는 불교가 아니라 자신의 사상이 유럽을 지배해야 한다고 본다.
한편,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불교 인식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이는데, 이는 서양인들의 통념으로 불교를 바라보는 것에서 기인한다. 반면 프롬의 불교 이해는 기존 통념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으며,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