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5
제1장 품사와 문장 구조
(1 품사…………………………………………………………………………………… 21
(2 문장 구조…………………………………………………………………………… 23
제2장 명사
(1 동사가 명사로 쓰인 경우… ……………………………………………… 31
(2 형용사가 명사로 쓰인 경우……………………………………………… 33
(3 명사가 부사로 쓰인 경우… ……………………………………………… 35
(4 명사구………………………………………………………………………………… 37
① 명사의 병렬 / 37
② 명사의 종속 / 40
(5 명사화………………………………………………………………………………… 43
① 표지 없는 명사화 / 43
② ‘之’와 ‘之所’ / 46
③ ‘所’와 ‘所以’ / 49
④ 者 / 52
제3장 대명사
(1 인칭 대명사… …………………………………………………………………… 57
① 일인칭 / 57 ② 이인칭 / 61 ③ 삼인칭 / 63 ④ 재귀 대명사 / 65
(2 지시 대명사… …………………………………………………………………… 68
① 是 / 68 ② 此 / 70 ③ 彼 / 71 ④ 斯 / 74 ⑤ 爾 / 75
(3 의문 대명사… …………………………………………………………………… 77
① 誰 / 77 ② 孰 / 80 ③ 何 / 82
제4장 동사
(1 명사가 동사로 쓰인 경우… ……………………………………………… 87
(2 자동사………………………………………………………………………………… 90
(3 타동사………………………………………………………………………………… 94
(4 사동과 피동… …………………………………………………………………… 101
① 사동 / 101 ② 피동 / 103
(5 동사 ‘有’와 ‘無’… ……………………………………………………………… 107
(6 조동사………………………………………………………………………………… 111
(7 동사 ‘是’… …………………………………………………
한국 최초의 ‘불교한문 문법서’
‘불교한문 해석을 위한 공구서’
《불교한문 해석법》 출간!
붓다의 가르침에 이르는 두 길, 팔리어와 한문
‘불교한문’이라 하면 일단 어려움과 난감함이 밀려온다. ‘‘불교’라는 심오한 철학도 함부로 다가갈 수 없는데, 게다가 ‘한문’으로 쓰여 있다면 쉽게 감당할 수 있겠는가?’하는 생각이 앞서기 때문이다.
불교는 지난 2천년 동안 인도에서 북쪽으로 동아시아로, 남쪽으로 동남아시아로 퍼져간 종교이자 철학이다. 19세기 말부터는 유럽과 미국으로 불교가 전해지기 시작해서 이제는 전 세계 곳곳에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불교가 뿌리를 내리고 있다. 이 불교는 크게 두 가지 언어로 되어 있으니, 하나는 팔리어요, 다른 하나는 한문이다.
팔리어 경전과 한문 경전은 같으면서 다르다. 그 출발은 붓다의 가르침으로 같았을 것이나,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면서 그 사유체계와 문화 등이 판이한 곳에서 번역과 해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지금 서양인들 가운데서 선불교에 심취한 이들은 대개 한문 경전에서 출발한 불교를 접하고 있다. 그런데 이 한문은 이제 중국에서조차 거의 죽은 문자로 취급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14억 중국인 가운데서도 읽거나 쓸 줄 아는 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거의 천 년 이상 한문을 사용한 한국과 일본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따라서 오늘날 ‘한역 대장경’과 ‘불교한문’은 매우 위태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불경의 한글 번역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전래되어 고려시대까지 독창적인 불교철학과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웠다. 조선이 성리학 국가를 표방하면서 불교가 수백 년 동안 억눌려 왔는데, 역설적으로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로 말미암아 불교경전이 한글로 번역되는 일이 일어났다. ??금강경언해??, ??능엄경언해??, ??불설아미타경언해?? 등등. 그리고 이는 오늘날 한글대장경의 완간으로 이어졌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면서도 대단한 역사라 하겠다.
1964년에 동국대학교 부설 동국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