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1부 들어가며
1.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2. 한국문화 연구 성과
3. 한국문화 연구 방법
2부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과 교수·학습이론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1 한국어 문화 교육
(2 한국문화의 유형
2.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수·학습이론
(1 교수·학습이론의 변화
(2 문화 교육 수업모형
3부 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1. 1920년대 「운수 좋은 날」 교육 방안
(1 일제강점기와 궁핍한 삶
(2 새침하게 흐린 수도, 경성
(3 권위주의와 남성성
(4 수업의 실제
2. 1950년대 「숨 쉬는 영정」 교육 방안
(1 한국전쟁과 이산가족의 아픔
(2 전쟁이 앗아간 고향, 사리원
(3 충효주의와 충성성
(4 수업의 실제
3. 1980년대 「원미동 사람들-일용할 양식」 교육 방안
(1 산업화 시대 소시민의 애환
(2 멀고 아름다운 동네, 원미동
(3 집단주의와 물신성
(4 수업의 실제
4부 나가며
참고문헌
책 속으로
한글을 배우겠다는 사람들의 숫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이 점은 한글이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한글은 탄생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제자원리가 과학적이고 문자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음소 문자이며, 모음은 항상 일정한 소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것은 1997년 10월 훈민정음이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07년 9월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서 한국어를 국제특허협력조약 국제 공개어로 채택하였다는 것으로도 증명된다.
- 13~14쪽
문화의 개념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사전적으로는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공유·전달되는 행동 양식으로 정의된다. 아울러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해 낸 물질적·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른다. 따라서 문화는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풍습·종교·학문·예술·제도 따위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 33~34쪽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 어떤 작품을 선정하여 교육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어떤 작품을 선정하느냐에 따라 학습 효과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선정한 단편소설 「운수 좋은 날」, 「숨 쉬는 영정」, 「일용할 양식」 등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각각 1920년대, 1950년대, 1980년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30년은 한 세대로 사전적으로는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기간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한 세대를 기준으로 한 작품씩 선정하였다.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60여 년은 한국의 근현대사를 관통하고 있는 시대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럴 뿐만 아니라 시대별로 30년마다 한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 즉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산업화시대 등이 있는 것이다.
- 102~10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