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인도네시아 : 국경과 민족을 넘어 코스모폴리탄 사회로 - 동남아 한인 연구 총서 3
저자 엄은희
출판사 도서출판 눌민
출판일 2022-09-15
정가 18,000원
ISBN 9791187750635
수량
머리말

서론 재외한인 연구와 인도네시아
1. 연구배경 21
2. 한인 정착 배경으로서의 인도네시아 이해하기 33
1 지리 특성
2 역사 개관
3. 인도네시아 한인 사회 개관 77
1 현황과 체류 조건
2 교민 공동체의 중심 한인회와 한인상공회의소
3 국적 있는 교육을 위한 한국 학교 설립
4 교류와 소통을 위한 한인회 공식 간행물 『한인뉴스』
5 지역적으로 다양한 한인 사회

1장 인도네시아를 향한 한인의 발자취
1. 태평양전쟁 시기와 수교 전 한인(1944~1967 116
1 경제 기회를 찾아온 조선 상인
2 발굴된 독립운동가, 장윤원
3 다중정체성의 포로 감시원: 강제동원 피해자, 해외 독립운동가, 인도네시아 독립의 영웅 등
4 최초의 한인(조선인 조직
5 새로운 뿌리내리기, 김만수
6 되돌아와 새로운 고향을 품다, 신교환
2. 수교 후 경제협력과 한인 사회 성장(1968~1980년대 초 142
1 산림개발로 연 투자의 역사
2 거류민회 설립과 신규 산업 진출(1970년대
3. 제조업 전성시대, 한국식 경영의 명암(1980년대 중반~1990년대 151
1 신발업 진출 사례
2 다양한 기업 진출과 사장이 많이 나오던 1990년대
3 한인 사회의 조직화
4. 아시아 외환위기, 엇갈린 결과(1998~2000년대 초반 170
1 외환위기의 엇갈린 운명
2 세기말 한인 사회: 기대와 불안의 공존
5. 분화하는 한인 사회(2000년 이후 188

2장 인도네시아 한인: 구성 집단별 목소리
1. 교민 1세대: 원로 한인 개척 이야기 201
1 최계월 인도네시아 진출기
2 신교환-신기엽 가계 인도네시아 정착기
3 코린도 승은호 정착기
4 한인 화합을 강조한 양영연 정착기
5 중부의 가발산업 김영율 정착기
6 한인 역사 기록자, 김문환
2. 주재원이 정착 한인이 되는 과정 221
1 진출과 정착의 배경
2 로컬시장이 보인다
3 정착 이후에 보이는 것
저자는 1장에서 이주와 정착의 배경이 된 인도네시아, 한국-인도네시아, 더 넓게 국제 경기의 변화와 연동한 해석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인도네시아 관계의 형성·변화 과정을 먼저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후 1960년대 산림개발을 시작으로 꾸준히 발전해온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 사회경제·정치외교 교류와 협력을 살펴 인도네시아의 어떠한 사회 변화가 한국인들을 인도네시아로 끌어들였는지 알아본다. 2장에서는 인도네시아로 향한 한인의 발자취를 살핀다. 한인의 인도네시아 진출의 서장이라 할 수 있는 일제강점기에서부터 본격적인 투자이민의 시대(1960~1990년대 그리고 금융위기 와중에도 오히려 교민 수가 증가한 배경을 다룬다. 이어서 2000년대 이후 중층적으로 분화하는 교민사를 알아본다. 3장에서는 직접 인터뷰와 한인 사회의 다양한 매체, 언론 등을 통해 공개된 인도네시아 한인의 목소리를 소개하고 일부 재구성함으로써 그들의 정착 생활상 나아가 미래 전망까지 드러낸다. 끝으로 오랜 기간 관찰한 인도네시아 한인 사회의 특성을 정리하고 양국의 연결고리로서 재외동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100년의 인도네시아 한인 이주 역사, 시대별 이주 동기와 한인 사회의 성장
인도네시아 한인 이주사는 크게 5개의 시기-태평양전쟁 시기와 수교 전(1944~1967년, 산림개발로 연 투자의 역사(1968~1980년대 초, 제조업 전성시대(1980년대 중반~1990년대, 아시아 외환위기와 세기말(1998~2000년대 초, 2000년 이후 분화하는 한인 사회-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전에 인도네시아로 이주·정착한 한인이 존재했다. 한인 사회는 2020년을 ‘인도네시아 한인 이주 100주년’으로 기념했는데 바로 1920년 인도네시아를 찾아와 독립자금 모금 활동을 하고 작고 후 인도네시아 땅에 묻힌 장윤원을 인도네시아 한인이란 ‘상상의 민족 공동체’의 뿌리로 자랑스럽게 내세우기 때문이다. 저자는 가장 먼저 인도네시아 독립 역사 연구가가 발굴해낸 장윤원의 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