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 임진왜란부터 태평양전쟁까지 동아시아 오백년사
저자 김시덕
출판사 메디치(메디치미디어
출판일 2015-04-05
정가 16,000원
ISBN 9791157060283
수량
목차
들어가며
1부해양 세력의 부상, 한반도를 지정학적 요충지로 바꾸다(16-17세기
1장 일본, 강력한 해양 세력으로 떠오르다
전국시대 일본, 백 년 동안의 분열 | 일본과 이탈리아, 유라시아의 동서(東西에 존재한 전국시대 | 체사레 보르자와 오다 노부나가
2장 해양 세력, 주변에서 중심을 꿈꾸다
유훈통치 체제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 | 선과 악의 대결로서의 임진왜란 | 중국 대륙의 지배권을 건 한인과 비한인의 충돌 | 한반도, 지정학적 요충지가 되다
3장 임진왜란, 대륙을 향한 세 번째 시도와 좌절
대륙 세력이 되고자 한 일본의 첫 번째 좌절?삼한·삼국시대 | 대륙 세력이 되고자 한 일본의 두 번째 좌절 ?왜구 | ‘성전’으로서의 임진왜란
4장 만주인, 임진왜란이 누르하치를 키웠다
누르하치가 여진의 전국시대를 끝내다 | 압록강의 얼음성과 홍삼, 그리고 ‘만주인’의 탄생 | 누르하치, 제국 건설을 시작하다
5장 급변하는 대륙, 동네북이 된 한반도
유라시아 동부의 패권을 건 사르후 전투 | 여진인과 ‘한국인’은 동족인가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한반도 문제의 종결
6장 명?청 교체, 비한인이 대륙을 지배하다
고려의 충선왕, 조선의 소현세자?심양의 두 한국인 | 북경, 함락되다 | 중국인과 일본인의 혼혈아 정성공
7장 타이완, 또 다른 동아시아 해양 중심지
‘아름다운 섬’타이완의 정치적 수난 | 타이완 섬의 운명을 결정지은 정성공 | 《정감록》의 정도령은 정성공의 아들 정경인가
8장 대항해시대, 노예무역으로 연계되다
유라시아 동부에 나타난 유럽 | 임진왜란과 동남아시아 노예무역 | 동남아시아에서 사라져가는 한국인과 일본인
2부회오리 이후, 옛 질서에서 새로운 질서로 흘러가다(17-19세기 초
9장 표류민, 새로운 세상을 본 사람들
한반도로 표류한 네덜란드와 필리핀 사람들 | 고립된 조선의 현실을 한탄하다 | 한국과 일본의 표류민, 새 시대를 열다
10장 난학, 네덜란드라는 창으로 세계를 보다
세계경제 시스
출판사 서평
해양 세력이 동아시아 500년 역사를 바꾸어놓았다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중화사상의 영향을 받아왔다. 조선시대까지 명?청과 조공관계를 맺으며 국제관을 형성했기에 ‘소중화(小中華’의 시각에서도 벗어나기 어려웠다. 21세기 한국 사회 일부에서는 중국의 부상을 숙명처럼 여기며 기뻐하기도 한다. 저자는 대륙뿐 아니라 해양과도 접한 한반도를 주목한다면 이제 중심 시각을 해양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늙어서 과대망상’을 하는 바람에 임진왜란을 일으켰다고 해도, 이 사건은 대륙, 한반도, 해양의 관계를...
해양 세력이 동아시아 500년 역사를 바꾸어놓았다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중화사상의 영향을 받아왔다. 조선시대까지 명?청과 조공관계를 맺으며 국제관을 형성했기에 ‘소중화(小中華’의 시각에서도 벗어나기 어려웠다. 21세기 한국 사회 일부에서는 중국의 부상을 숙명처럼 여기며 기뻐하기도 한다. 저자는 대륙뿐 아니라 해양과도 접한 한반도를 주목한다면 이제 중심 시각을 해양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늙어서 과대망상’을 하는 바람에 임진왜란을 일으켰다고 해도, 이 사건은 대륙, 한반도, 해양의 관계를 바꿔놓은 거대한 전환점이었다. 중국이나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들어갔던 사람들(도래인이 다시 대륙을 넘본 것이 당연할 수 있으나, 이전까지 전혀 상상도 할 수 없는 중앙집권화된 해양의 습격이었다.
한 중 일 삼국지적 관점을 넘어서-
러시아 동남아시아 등을 포함한 열국지로 시야를 넓히다
임진왜란은 비단 조선과 일본만의 전쟁이었을까? 사실 해양의 부상과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전체의 판도를 바꿔버린 국제전쟁이었다. 조선과 명이 일본에 신경 쓰는 사이에 북방 만주인이 청을 세웠으며, 이는 명나라 멸망과 또 다른 동아시아 해양 중심지, 타이완의 탄생을 불러왔다. 여기에는 동남아시아까지 진출한 대항해시대의 유럽이 개입돼 있으며, 시베리아를 넘어온 러시아까지 동아시아와 접촉한다. 그러나 16세기 말부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