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질서에 맞는 감각을 익혀라
1장 가치의 재구성,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 거대한 전환
팬데믹을 통해 발견한 사회적 가치의 힘
개인주의 vs 공동체주의, 딜레마에 빠진 한국 사회
일상의 영역에서 완성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복지 공동체, 팬데믹 위기를 관리하는 대안적 해법
팬데믹을 넘어 사회적 희망을 설계하라
2장 관계의 해체, 다시 ‘우리’가 되는 새로운 방법
공포의 전파력이 빠르고 강한 이유
사회적 맥락이 집단의 형성을 결정한다
공포 정서가 만드는 편향과 차별
불행한 청년과 행복한 노인의 역설
팬데믹, 사회적 관계, 스트레스
위협은 ‘가십’의 사회적 기능까지 바꾼다
감염병 시대에는 제로섬 사고의 극복이 필요하다
사회적 버블에 가려진 커뮤니티의 재발견
전통적 집단의 해체에서 디지털 우정까지
불확실한 미래에도 희망은 있다
3장 정지된 일상,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지리의 법칙
팬데믹이 만든 임모빌리티 세상
21세기의 호모 노마드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우리가 몰랐던 팬데믹 쇼크의 비밀
모빌리티의 역설, 모빌리티에서 임모빌리티로
새로운 공간에 등장한 새로운 질서
지리학으로 보는 팬데믹 시대의 불균등과 양극화
팬데믹, 대도시의 모빌리티 경관을 바꾸다
모빌리티 뉴노멀: 개인화된 모빌리티와 공유 서비스
이동을 둘러싼 국가 통제력의 변화
메타버스를 타고 진화하는 디지털 모빌리티
모빌리티 격차가 만드는 공간의 미래
4장 복지국가의 역설, 펜데믹에서 발견한 돌봄과 통제의 양면성
친절한 통제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평등에서 안전으로, 팬데믹으로 인한 전세 역전
국가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리는 어떻게 이뤄지는가
위험 집단을 범주화하는 사회보장 정보 시스템
정보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 감시의 부작용
미래의 사회 통제를 담은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또 하나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5장 정보 시스템의 진화, 방역과 프라이버시의 균형점을 찾아
코로나19 이후 찾아온 대전환의 역습
기존의 모든 질서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전 세계는 지금 팬데믹의 긴 터널을 지나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일상으로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하지만 지난 2년 반의 경험은 사회의 틀, 그리고 개인의 인식과 선호를 크게 바꿔놓은 이른바 ‘뉴노멀’을 불러왔다. 코로나19 이전으로는 절대 되돌아갈 수 없다는 불안감이 큰 가운데, 대전환의 역습을 맞은 우리 삶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을 위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진 7명이 모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뉴노멀’이라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사회학, 심리학, 지리학, 사회복지학, 언론정보학, 경제학, 정치외교학이라는 7개의 사회과학 각 분야 전문가들의 식견을 모아 한국 사회의 거대한 변화를 전망한 이 책은 낯선 시대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힘이 되어줄 것이다.
눈앞의 강제적이고 불확실한 변화에 적응하려면,
새로운 질서에 맞는 감각을 익혀라!
1장에서는 임동균 교수(사회학과가 코로나19로 일상이 무너지고 미래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우리가 따르는 사회적 가치의 좌표들이 어떻게 재정립되고 있는지를 사회학 관점에서 살폈다. 특히 방역 과정에서 첨예해진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딜레마라는 갈등 양상에 주목한다. 이에 저자는 펜데믹이 근본적 사회 가치를 재정비하는 계기가 된다고 말하며, 성공지상주의에 함몰되었던 진정한 개인의 가치를 복원하고 공동체의 실질적 역할을 일깨울 가능성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한소원 교수(심리학과가 감염병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정서의 변화가 사회적 관계와 커뮤니티를 어떻게 바꿨는지를 심리학 관점에서 다룬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변화를 겪으며 전통적 집단이 해체되고 온라인을 매개로 전 세계가 연결된 공동체로 재구조화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어지는 3개의 장에서는 방역 목적으로 확대된 개인 이동의 통제와 정부 감시 강화가 초래한 사회 변화를 심도 있게 짚어본다. 3장에서는 이건학 교수(지리학과가 코로나 시대를 모빌리티 혁신의 현대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