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특징 및 구성
대동여지도의 특징
대동여지도 읽기
대동여지도 색인도
도성도 | 경조오부 | 1-1 훈융·안원 | 1-2 온성·종성·경원 | 2-1 경흥·녹둔도 | 2-2 회령·행영 | 2-3 무산 | 2-4 백두산·천평 | 2-5 여연 | 2-6 중강동구평 | 3-1 대초도·조산 | 3-2 부령·어유간 | 3-3 삼산·연면 | 3-4 혜산·삼지 | 3-5 후주·장진강 | 3-6 무창 | 3-7 자성 | 4-1 경성 | 4-2 장백산 | 4-3 갑산 | 4-4 삼수 | 4-5 우항령 | 4-6 만포 | 4-7 구읍 | 5-1 명천 | 5-2 길주 | 5-3 성대산 | 5-4 병풍파 | 5-5 장진 | 5-6 강계 | 5-7 위원·초산 | 6-1 마유산 | 6-2 단천 | 6-3 이원·북청 | 6-4 부전령 | 6-5 낭림산 | 6-6 적유령 | 6-7 벽동 | 6-8 창성 | 7-1 마양도 | 7-2 함흥·홍원 | 7-3 영성 | 7-4 희천 | 7-5 운산 | 7-6 삭주·구성 | 7-7 의주 | 8-1 정평·영흥 | 8-2 요덕 | 8-3 덕천·맹산·개천 | 8-4 영변·안주·태천 | 8-5 철산·선천·정주 | 8-6 용천 | 9-1 고원·문천·덕원 | 9-2 양덕 | 9-3 은산·성천·강동 | 9-4 숙천·영유·순안 | 10-1 문암 | 10-2 안변·회양·통천 | 10-3 문성·방장치 | 10-4 삼등·상원·수안 | 10-5 평양·강서·황주 | 10-6 광량 | 11-1 고성 | 11-2 금강산·금성 | 11-3 이천·평강·철원 | 11-4 신계·서흥·평산 | 11-5 봉산·안악·재령 | 11-6 풍천·장연 | 12-1 간성·양양 | 12-2 양구·인제·춘천 | 12-3 연천·영평·포천 | 12-4 개성·장단·배천 | 12-5 해주·강령·옹진 | 12-6 백령·행영 | 13-1 우계 | 13-2 강릉·평창 | 13-3 홍천·횡성 | 13-4 한양·광주·양근 | 13-5 강화·김포·인천 | 13-6 산연평 | 14-1 울릉도·우산도 | 14-
[대동여지도]를 더욱 쉽고 가깝게 만나는 책!
이 땅의 산줄기와 물줄기, 고을과 도로 등 자연과 인문 지리 정보가 모두 담겨 있어 전국의 지리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었던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제작해 널리 보급할 수 있어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지도였다. 또한 기호를 사용해 지도 읽기에 편리하고, 방안표로 축척을 알 수 있으며, 도로 위에 찍은 방점으로 거리까지 계산할 수 있었다. 지도를 모두 펼치면 가로 약 3.8m, 세로 약 6.7m로 건물 3층 높이의 대형 전도이지만, 접으면 책처럼 만들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간편했다.
...
[대동여지도]를 더욱 쉽고 가깝게 만나는 책!
이 땅의 산줄기와 물줄기, 고을과 도로 등 자연과 인문 지리 정보가 모두 담겨 있어 전국의 지리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었던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제작해 널리 보급할 수 있어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지도였다. 또한 기호를 사용해 지도 읽기에 편리하고, 방안표로 축척을 알 수 있으며, 도로 위에 찍은 방점으로 거리까지 계산할 수 있었다. 지도를 모두 펼치면 가로 약 3.8m, 세로 약 6.7m로 건물 3층 높이의 대형 전도이지만, 접으면 책처럼 만들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간편했다.
[대동여지도]는 이러한 우수성 덕분에 역사상 최고의 지도로 손꼽히지만, 현대 지도와는 표현 방식이 다르고 지명이 한자라서 쉽게 읽을 수 없었다. 《한글 대동여지도》는 11,677개나 되는 모든 한자 지명에 한글로 토를 달고 지도마다 땅에 대한 개관을 담아 [대동여지도]를 바로 보고 이해할 수 있게 도왔다. 1861년의 신유본(辛酉本 지도 122도엽을 한지 위에 먹으로 찍어 낸 목판 인쇄본의 모습대로 약 65%로 축소하여 실은 이 책은 당시의 [대동여지도]를 더욱 생생하고 가깝게 만날 수 있게 해 준다.
자신만의 채색 [대동여지도]를 만든다!
[대동여지도]는 목판에 새겨 제작한 지도로 최종 성과품은 먹물로 찍어 낸 종이 지도이다. 따라서 산줄기와 물줄기, 군현 경계와 도로, 지도표에 나오는 각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