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홀로 시대의 탈사회 시나리오_김문조
제1부 | 술, 스포츠, 사랑
제1장 | 혼술의 감정 동학_박형신
제2장 | 나 홀로 스포츠 관람’은 ‘탈사회적’인가_김봉석
제3장 | 탈사회적 로맨스와 친밀한 시시포스_정수남
제2부 | 청년과 노동
제4장 | 탈사회화의 시대, 개별화된 청년들의 삶의 감각과 정념의 정치_김주환
제5장 | 탈노동적 노동의 현실_김영선
제3부 | 예술, 죽음, 종교
제6장 | 탈사회적 전환과 예술_김남옥
제7장 | 고독사, 한국사회의 위기와 죽음의 탈사회화_권오헌
제8장 | 탈사회적 사회의 종교_하홍규
한국사회의 새로운 사회질서를 이론화하는 사회학자들의 연구 성과
제1장 ‘혼술의 감정 동학: 탈사회 시대의 하나의 취향?’에서 박형신은 혼술 현상을 통해 우리 사회의 탈사회적 모습을 감정사회학적으로 진단한다. 저자는 혼술을 탈사회적 현상으로 바라보는 시각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혼술이 하나의 취향으로까지 발전한 이유에 대해 혼술자의 시각에서 내재적으로 접근한다.
제2장 ‘‘나 홀로 스포츠 관람’은 ‘탈사회적’인가’에서 김봉석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혼자 경기를 직관하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 분석한다.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저자는 ‘나만의 세계 속에서의 관람’에서 그 답을 찾는다. 즉, 경기장을 직접 찾는 사람들이 주로 집합적 열광이나 연대를 추구하는 데 반해 ‘나 홀로 직관’을 하는 사람들은 거대한 경기장을 내 세계 안에 끌어들여 경기 자체에 몰입하면서 내가 관람의 주체가 되고자 한다는 것이다.
제3장 ‘탈사회적 로맨스와 친밀한 시시포스: 플랫폼 짝짓기의 논리와 역설’에서 정수남은 사회과학계에서 온전히 다루지 못한 사랑이라는 소재를 주도면밀하게 공략한다. 데이팅앱을 통해 이성을 만나는 청년들과의 인터뷰를 토대로 깊이 있고 지속적인 관계가 배제되고 인간과 사물의 구분마저 와해되는 탈사회적 정경을 분석한다.
제4장 ‘탈사회화의 시대, 개별화된 청년들의 삶의 감각과 정념의 정치’에서 김주환은 사회문제로서의 사회적인 것과 문제해결방식으로서의 사회적인 것을 구분하는 독창적인 분석틀을 제시한다. 요즘 우리 청년들에게 삶의 위기로 다가오는 사회문제는 다분히 사회적인 데 반해, 문제에 대한 해결방식은 고스란히 개개인에게 전가되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제5장 ‘탈노동적 노동의 현실: 플랫폼 자본주의 시대의 노동자상’에서 김영선은 탈사회의 양상으로 플랫폼 노동에 주목해 생산방식의 변화에 따라 등장하는 노동자상을 분석한다. 저자는 플랫폼 자본주의가 아름답게 포장하는 ‘독립적인’ 노동자상은 사실상 노동과정상의 위험을 기존 노동 관계법이나 사회 보장법의 보호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