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사회사상의 역사 : 마키아벨리에서 롤스까지 (양장
저자 사카모토 다쓰야
출판사 교유서가
출판일 2022-10-06
정가 33,000원
ISBN 9791192247427
수량
서장: 사회사상이란 무엇인가
1. 사회사상의 역사란 무엇인가
2. 사회사상사의 방법
3. ‘시대’와 ‘사상’의 문맥
4. 사회사상의 기본 문제: ‘자유’와 ‘공공’의 관계

제1장 마키아벨리의 사회사상
1. ‘시대’의 문맥: 시장경제의 부활과 근대국가의 태동
2. ‘사상’의 문맥: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인문주의
3. 마키아벨리의 ‘문제’
4. 『군주론』의 인간관
5. 『로마사 논고』의 공화제론
6. 마키아벨리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2장 종교개혁의 사회사상
1. ‘시대’의 문맥: 근대국가의 출현과 시장경제의 발전
2. ‘사상’의 문맥: 르네상스에서 종교개혁으로
3. 종교개혁 사상의 ‘문제’
4. 루터의 신앙의인론과 만인사제주의
5. 칼뱅의 예정설과 자본주의의 정신
6. 종교개혁 사상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3장 고전적 ‘사회계약’ 사상의 전개
1. ‘시대’의 문맥: 국제 상업 전쟁의 개막
2. ‘사상’의 문맥: 과학혁명에서 자연법학으로
3. 사회계약 사상의 ‘문제’
4. 홉스의 기계론적 인간관과 절대주권 이론
5. 로크의 이성적 인간관과 정치사회론
6. 사회계약 사상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4장 계몽사상과 문명사회론의 전개
1.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발전
2. ‘사상’의 문맥: 프랑스와 스코틀랜드
3. 계몽사상의 ‘문제’
4. 프랑스 계몽의 문명사회상: 볼테르에서 중농주의까지
5. 스코틀랜드 계몽의 문명사회상: 허치슨과 흄
6. 계몽사상에서의 ‘자유’와 ‘공공’

제5장 루소의 문명비판과 인민주권론
1.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위기
2. ‘사상’의 문맥: 계몽에서 문명비판으로
3. 루소의 ‘문제’
4. 『사회계약론』에서의 일반의지와 인민주권
5. 루소에게서의 ‘자유’와 ‘공공’

제6장 스미스에게서의 경제학의 성립
1. ‘시대’의 문맥: 문명사회의 위기를 넘어
2. ‘사상’의 문맥: 계몽에서 사회과학으로
3. 스미스의 ‘문제’
4. 『도덕감정론』
국가 및 시장에 관한 문제들과 씨름한 역사 저자는 서장에서 ‘사회’란 무엇인가, 개념의 범주부터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사회는 실질적으로 근대사회이고 특히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에서 시작되는 유럽 사회와 그 연장선상에서 성립된 북미 대륙 사회를 가리킨다. 유럽이라 하더라도 고대와 중세 사회는 포함하지 않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도 포함하지 않았다. 이 책에서 말하는 고유한 의미의 ‘사회’는 ‘법의 지배’를 원리로 삼는 ‘합리적 국가’를 가진 사회이고, ‘시장’을 경제 기반으로 하는 사회를 일컫는다. 따라서 고대 아테나나 폴리스가 고도로 발달하였다 해도 이는 법치나 순수한 시장이 아닌 정치·종교의 공동체이기에 사회로 볼 수 없다.

이 책의 대상을 근대사회로 한정하더라도 거기에는 500년 가까운 역사가 있다. ‘사회’라는 개념 자체가 근대 유럽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구체적 내용을 바꿔왔으며, ‘사회사상’의 역사는 이런 역사적 변화를 내재적으로 추적하려는 시도를 가리킨다. _「서장: 사회사상이란 무엇인가」에서

주요 사상가들이 주장한 문맥의 바탕인 인간관, 사회관, 역사관을 살핀다

근대 유럽의 사회사상사를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아주 다양한 접근법이 있지만, 단순하게 잡으면, 경제학적 접근, 철학·윤리학적 접근, 법학·정치학적 접근으로 볼 수 있는데, 이 책은 경제학적 접근에 가깝다. 그렇다고 경제학사적인 책은 아니다.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미스의 『국부론』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사상적 요소들을 이해해야만 가능하다. 또한 인간만이 갖고 있는 이성과 언어를 구사하며 상대를 설득한다는 스미스의 ‘교환 성향’의 개념을 인간의 본성과 경제활동에 대한 사회사상적 문제 인식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정치학자이자 법학자 등 여러 면모를 지닌 스미스의 사상을 근본적으로 통일하는 것은 도덕철학이고, 도덕철학은 염연히 사회사상의 영역이며, 스미스의 사회사상에서 경제학이 생겨난 것이지 그 역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스미스의 철학과 정치학, 법학